12일 '원전해체연구소(이하 원해연) 입지로 부산·울산 접경지역이 사실상 내정됐다'는 일부 언론 보도와 관련, 경주 등 경북도민들은 '정부로부터 뒤통수를 제대로 얻어맞았다'며 분통을 터트렸다.
'원해연 입지 선정과 설립 방안을 오는 3월 발표한다'(매일신문 1월 11일 자 1면)는 정부 말만 믿고 유치전을 펼쳤던 관련 지방자치단체 관계자들은 허탈감을 감추지 못한 채 '짜고 치는 고스톱에 당한 것 아니냐'며 분노를 쏟아냈다.
그도 그럴 것이 정부가 원해연 입지를 '공모'가 아닌 '정부 지정 방식'으로 선정한다고 할 때부터 '입지의 타당성이 정치적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는 우려 섞인 목소리가 많았기 때문이다.
그동안 경주시와 경북도는 원해연 유치를 위해 입지면에서 경주가 최적지라는 점을 정부에 알리며 설득해왔다. 국내 원전 24기 가운데 12기가 경북에 밀집해 있는 데다 월성원자력본부, 한국수력원자력 본사, 한국원자력환경공단 등 여러 원전 관련 기관이 경주에 자리잡고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경주엔 국내 유일의 중저준위방폐장이 있어 원전 해체 폐기물 운반이 쉽다는 이점까지 갖췄다. 부산·울산엔 없는 중수로 원전 4기도 있어 다양한 원전 해체 기술을 연구할 수 있다. 원해연이 경주에 들어서면 원전의 설계·건설·운영·해체·폐기에 이르는 모든 과정이 유기적으로 이뤄져 원전 해체 산업의 최대 시너지를 낼 수 있는 셈이다.
특히 경주는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처리장(이하 방폐장) 입지 결정 당시 정부로부터 원해연 유치의 마중물이 될 사업들에 대한 약속을 받았기 때문에 원해연 유치에 대한 기대가 더욱 컸다. 정부는 방폐장을 받기로 한 만큼 원해연 유치의 마중물이 될 ▷국제에너지과학연구단지(900억원) ▷복합스포츠단지(600억원) ▷만파식적 역사숲 조성(500억원)을 감포면 일대 부지에 추진하겠다고 약속했다.
이런 상황에서 원해연 입지가 부산·울산으로 결정났다는 소문이 확산되자 월성원전 인근 동경주지역 주민들은 "과거 미래창조과학부가 추진한 원해연 공모가 8개 지자체 간 과당경쟁으로 실패한 사례가 있어 이번엔 정부 지정 방식으로 바뀐 걸로 알고 있다"며 "이에 연구용역에서의 높은 점수 획득과 정부를 상대로 한 입지선정 당위성 확보가 이번 유치의 관건으로 알고 있었는데 소문이 맞다면 정부가 거짓말을 한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와 관련, 경주시는 이날 이영석 경주시 부시장과 이규익 원자력정책과장 등을 산업통상자원부로 보내 소문의 진위를 파악하는 한편 다시 한 번 원전해체연구소 경주 설립의 당위성을 강조했다.
주낙영 경주시장은 "원자력 연관 사업이 집적해 있는 데다 대학·연구기관과의 연계성, 관련 인적자원 확보 등 뭘로 봐도 경주가 원해연의 최적지"라며 "유치를 위해 마지막까지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