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공항 통합이전 지지부진 및 각종 국책사업 대구경북(TK) 패싱', '지역 정치권의 정치력 실종, '여당의 외면' 등 '삼각파도'가 대구경북을 휩쓸고 있다.
이에 따라 대구경북 시도민 사이에서는 "제대로 되는 일이 하나도 없다"는 푸념이 나오면서 절망감이 짙어지고 있다.
대구공항 통합이전은 지지부진하고 탈원전 대안으로 사활을 걸고 있는 미래 먹거리 산업인 경북의 원전해체연구소 유치마저 부산, 울산으로 정해지는 분위기가 감지되면서 지역의 미래가 걱정이라는 우려마저 나온다.
국책사업 유치 실패보다 더 큰 문제는 대구경북의 강점이었던 정치력이 쪼그라들고 있다는 점이다. 중앙정부를 상대로 지역의 이익을 관철할 수 있는 시스템이 부실해졌다는 의미이기 때문이다.
지역 출신 대통령을 5명이나 배출한 대구경북이지만 지금은 자유한국당 전당대회 당 대표 후보도 못 내는 신세가 됐다. 정치권에선 한국당의 계파 갈등에 따른 공천 농단이 반복되는 과정에서 대구경북이 최대 피해지역이 됐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한국당 관계자는 "계파 좌장의 말을 잘 듣는 인사 중심으로 공천이 이뤄지다 보니 정치 지도자로 성장할 될성부른 '나무'의 명맥이 끊겼다"며 "이대로 가면 차기 총선 공천 과정에서도 당선 가능성이 높은 대구경북을 무대로 묻지마식 내리꽂기 공천이 우려된다"고 말했다.
지역의 침체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정부·여당의 지원을 기대하기 힘들다는 점도 풀어야 할 숙제다. 현 정부로선 대구경북보다는 부산·경남과 호남에 더 신경을 쓸 수밖에 없는 정치환경이기 때문이다.
더불어민주당 관계자는 "김부겸 장관과 홍의락·김현권 의원의 개인기에 의존해 해결할 수 있는 지역 현안은 한계가 있다"며 "각종 선거에서 전략적인 투표를 하는 지혜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지역 정치권 관계자는 "대구경북과 세계를 이어줄 통합공항 이전작업이 늦어지면 그만큼 지역 경쟁력이 뒤처질 수밖에 없다"며 "지역의 차세대 먹거리로 삼겠다며 공을 들인 원자력해체연구소 유치마저 안 된다면 지역의 중장기 발전전략을 완전히 새로 짜야 한다. 여야를 떠나 지역 정치권이 힘을 모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