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 '크라카타우 포스코'
'포스코 베트남'·미얀마 가스전 방문
경쟁력 강화·수익성 확대 방안 논의
포스코 최정우 회장은 취임 후 처음으로 해외사업장을 찾아 성장 전략을 모색한다.
최 회장은 25~29일 인도네시아 '크라카타우 포스코' 제철소를 시작으로 베트남 생산법인, 미얀마 가스전 등 동남아시아 주요 사업장을 방문한다.
포스코 측은 최 회장이 올해 초 동남아 지역 내 사업전략 수립을 마무리 짓고, 철강 사업 위상 강화와 그룹미래성장동력 구상, 현지직원 격려 등을 위해 해외사업장을 방문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최 회장은 25일 인도네시아 국영철강사 크라카타우스틸 CEO 실미 사장을 만나 크라카타우 포스코 제철소의 경쟁력 강화와 수익성 확대 등 미래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2013년 12월 가동한 크라카타우 포스코는 한국 기술과 자본으로 해외에 일관제철소를 건설한 첫 사례로 생산능력 300만t 규모 동남아 최초의 일관제철소다.
크라카타우 포스코는 지난해 가동 이후 최대 후판 생산량을 달성하며 2천100억원의 영업수익을 올렸다. 이에 포스코는 사회적 기업을 설립해 제철소 인근 지역 청년들에게 일자리와 취업 교육을 제공하는 등 최대 실적에 따른 수혜를 현지에 돌려주고 있다.
최 회장은 제철소 직원들을 만나 "해외에서도 제철소 조업 현장이 회사 경쟁력의 핵심"이라며 "고로를 포함한 주요 설비를 철저히 관리해 안정적인 조업에 만전을 기해달라"고 했다.
최 회장은 인도네시아에 이어 베트남의 냉연 생산법인 '포스코 베트남'과 형강 및 철근 생산법인 'SS VINA', 포스코인터내셔널의 미얀마 가스전을 방문할 계획이다.
인도네시아, 베트남, 미얀마 등 동남아시아 국가들은 포스코가 그동안 해외사업을 추진하며 가장 많은 투자를 진행한 지역이며, 앞으로도 높은 성장력이 기대되고 있다.
포스코 관계자는 "포스코는 현지 사업장이 자리한 지역을 중심으로 경제적 투자뿐만 아니라 다양한 사회문제 해소에도 힘쓰고 있다. 시장 잠재력이 높은 동남아 지역을 중심으로 더 큰 성장을 모색해나가겠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