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원전해체연구소 건립 및 원전해체산업 육성에 본격적으로 나섬에 따라 경북이 얻을 득과 실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15일 경북도에 따르면 우선 가칭 중수로해체기술원이 경주시 감포읍에 들어서 건립비용과 연구원 상주에 따른 경제파급 효과가 발생한다. 중수로해체기술원 규모는 아직 확정되지 않았지만 700억원 규모로 추정되고 있으며 상주 연구원은 40여 명 수준이다.
그러나 부산·울산으로 간 원전해체연구소의 경우 예산 2천400억원, 상주 인원은 100명 정도여서 예산 규모와 인력 면에서 크게 미치진 못한다.
이에 경북도는 원천해체에 따른 부수적인 낙수효과에 기대를 걸고 있다.
도에 따르면 원전 1기를 해체하는데 약 1조원의 비용이 드는데 각종 검사비용 등을 제외한 순수해체비용은 6천억원 정도다. 경북지역에 전국에서 가장 많은 원전 14기(건설 중인 신한울 1, 2호기 포함)가 있는 점을 고려하면 낙수효과는 최대 8조4천억원에 달할 수 있다는 게 도의 계산이다.
도 관계자는 "원전해체는 건립의 역순으로 진행된다"면서 "건립 시 두산중공업 등 시행업체가 지역에 상주하며 경제유발 효과를 일으키듯 해체업체도 지역 경제에 도움을 준다"고 했다.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반입수수료는 경북도만의 낙수효과다. 경주에 국내 유일의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리장이 있어 전국 원전 해체 시 발생하는 중저준위 방폐물이 경주로 모이기 때문이다.
원전 1기를 해체하면 약 2만 드럼의 방사성폐기물이 발생하는데 고준위폐기물을 제외한 총 43만5천 드럼이 경주방폐장에 들어오고 이때 반입수수료(드럼당 63만7천500원) 약 2천773억원이 발생한다.
다만 경수로 원전해체연구소를 포함한 온전한 원해연을 유치하지 못한 점은 큰 아쉬움으로 남는다. 경수로 원해연 유치 실패로 국내는 물론 전세계 원전시장을 오롯이 선점할 기회를 놓친 셈이다.
산업부에 따르면 세계 원전은 총 453기이고 이 중 170기가 영구정지 상태로 전체 해체 시장 규모는 550조원에 달한다.
도 관계자는 "원해연 전체를 유치해 경북도가 원전해체산업을 주도하는 게 가장 이상적이었으나 그러지 못해 아쉽다"면서 "다만 지역 낙수효과가 국내에서 가장 크고 경쟁이 치열한 경수로원전 해체 시장과 달리 아직 기술이 확보 안 된 중수로원전 해체 시장을 독점할 기회를 얻은 것은 성과"라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