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경북도 "중수로만 온 것 매우 유감"

경주시 "절반의 성공" vs 시민·시의회 "우는 아이 떡 하나 준 격"

15일 부산시 기장군 고리원자력본부에서 열린 동남권 원전해체연구소 설립 업무협약식 참석자들이 손을 맞잡고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왼쪽부터 이선호 울주군수, 송호철 울산시장, 오거돈 부산시장, 성윤모 산업부 장관, 정재훈 한수원 사장, 강길부 국회의원, 이철우 경상북도지사, 주낙영 경주시장. 경북도 제공
15일 부산시 기장군 고리원자력본부에서 열린 동남권 원전해체연구소 설립 업무협약식 참석자들이 손을 맞잡고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왼쪽부터 이선호 울주군수, 송호철 울산시장, 오거돈 부산시장, 성윤모 산업부 장관, 정재훈 한수원 사장, 강길부 국회의원, 이철우 경상북도지사, 주낙영 경주시장. 경북도 제공

경북도는 정부가 15일 중수로와 경수로 원전해체연구소를 각각 경주와 부울 접경지역에 배치하기로 한 결정에 대해 큰 아쉬움을 나타냈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이날 성윤모 산업부 장관을 만난 자리에서 '원전해체연구소 전체가 아닌 중수로만 온 것에 대해 매우 유감스럽다'고 전했다.

이 도지사는 "경북은 국내 최대 원전 집적지로 정부의 일방적인 에너지 전환 정책에 의해 피해가 막심한 만큼 향후 정부에서 원자력 분야의 추가적인 사업지원이 절실하다"고 했다.

경주에선 이날 정부의 원해연 발표와 관련, 경주시와 도의회가 각각 다른 반응을 내놨다.

주낙영 경주시장은 15일 기자회견을 열고 이날 정부의 발표에 대해 '절반의 성공'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원해연 유치에 총력을 기울여 왔으나 결과가 이렇게 나와 아쉬움이 크다"며 "그러나 처음부터 내정설이 나오는 등 '기울어진 운동장에서 싸운 것'과 다름 없다"고 했다.

주 시장은 "사실 연구소가 큰 의미가 있는 것은 아니다. 종사자 100여명 규모의 연구소가 들어와봐야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할 것"이라며 "대신 정부가 예산 규모 1천600억원 규모의 방사성폐기물 정밀분석센터 경주 건립을 약속했다는 점이 큰 성과"라고 분석했다.

반면 경주시의회와 상당수 시민은 경주시와는 상반된 격앙된 반응을 보이고 있다.

경주시의회 원전특별위원회 이동협 위원장은 이날 '중수로 해체기술원 경주 유치'에 대해 "우는 아이 떡 하나 준 격"이라며 "분노를 금할 수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동협 위원장은 "경주는 '원자력 백화점'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각종 원전 시설을 수용하며 지난 35년간 국가 에너지정책을 위해 희생해왔다"며 "정부의 이 같은 결정은 경주시민을 우롱한다고 밖에 볼 수 없다"고 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