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서열 파괴'라는 무리수를 두면서까지 검찰총장 후보자로 윤석열(59·사법연수원 23기) 서울중앙지검장을 지명한 것은 문재인 정부의 간판이라 할 수 있는 '적폐청산'을 중단 없이 계속하겠다는 강력한 의지로 비쳐진다. 또 문 대통령이 오랫동안 강조해온 '검찰의 힘 분산'이라는 과제를 짊어질 적임자가 바로 윤 후보자라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서열 파괴는 정권에 부담인 동시에 검찰 내부의 반발을 부른다는 지적이 있었지만 문 대통령은 예상대로 문무일 현 총장보다 다섯 기수나 아래인 윤 후보자를 낙점했다. 윤 후보자가 총장이 되면 검찰 관행상 19∼23기 고검장·지검장 수십 명이 줄줄이 사퇴해야 하는 상황이 나올 수 있다.
더욱이 국회 청문회를 거쳐 윤 후보자에 대한 총장 임명이 현실화되면 검찰총장 임기제가 도입된 1988년 이후 고검장을 거치지 않고 총장으로 직행하는 첫 사례이기도 하다.
문 대통령은 지난달 2일 청와대에서 열린 사회 원로 초청 오찬에서 국정·사법농단 사태를 언급하면서 "빨리 진상을 규명하고 청산이 이뤄진 다음 그 성찰 위에서 새로운 나라를 만드는 데 공감이 있다면 얼마든 협치할 수 있다"고 말했다. 협치도 중요하지만 그에 앞서 국정농단 청산이 먼저라는 점을 다시금 천명한 것이다.
문 대통령의 의중을 잘 아는 윤 후보자인 만큼 검찰총장으로서 검경 수사권 조정을 골자로 하는 검찰개혁에 대한 임무도 완수할 적임자라고 문 대통령은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는 검찰개혁을 둘러싸고 윤 후보자에게 큰 기대를 거는 모습이다.

고민정 대변인은 "윤 후보자는 검사로 재직하는 동안 부정부패를 척결했고 권력의 외압에 흔들리지 않는 강직함을 보였다"며 "시대의 사명인 검찰개혁과 조직 쇄신 과제도 훌륭하게 완수할 것"이라고 했다.
하지만 윤 후보자로 인해 검찰은 사상 최대의 '인사 태풍'이 불가피하다. 그동안 관행을 따른다면 문 총장 1년 후배인 사법연수원 19기부터 윤 후보자 동기인 23기까지 모두
옷을 벗어야 한다. 현재 검사장급 이상 간부 42명 가운데 19∼23기는 30여 명에 달한다.
윤 후보자가 예정대로 다음 달 25일 취임할 경우 검사장급 이상 후속 인사는 8월 초순 단행될 것으로 보인다.
고위직 4명 중 3명이 조직을 떠나는 초유의 인사 태풍이 눈앞에 다가온 셈이다. 이 때문에 윤 지검장의 동기 또는 선배 가운데 일부가 검찰에 남아 조직 안정화에 힘을 보태는 방안도 거론된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차문 닫다 운전석 총기 격발 정황"... 해병대 사망 사고 원인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