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北외무성, 한미훈련 반발 담화…"새로운 길 모색할 수도"

"대화로 해결 입장에 변함없지만, 적대행위 계속되면 동력 사라져"
미국 "상황 주시...한일 동맹과 긴밀 상의"

전시작전통제권(전작권) 전환에 초점이 맞춰진 하반기 한미 연합연습이 사실상 시작된 5일 오후 경기도 평택시 캠프 험프리스에 헬기들이 계류되어 있다. 한미는 이날부터 오는 8일까지 각종 국지도발과 대테러 대응 상황 등을 가정한 위기관리참모훈련에 돌입했다. 이는 이번 하반기 전체 연습의 사전연습 격으로, 한반도 전시상황 등을 가정한 본훈련은 오는 11일부터 약 2주간 진행된다. 이번 연습은 병력과 장비를 실제로 기동하지 않고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진행하는 지휘소연습 형태로 진행된다. 연합뉴스
전시작전통제권(전작권) 전환에 초점이 맞춰진 하반기 한미 연합연습이 사실상 시작된 5일 오후 경기도 평택시 캠프 험프리스에 헬기들이 계류되어 있다. 한미는 이날부터 오는 8일까지 각종 국지도발과 대테러 대응 상황 등을 가정한 위기관리참모훈련에 돌입했다. 이는 이번 하반기 전체 연습의 사전연습 격으로, 한반도 전시상황 등을 가정한 본훈련은 오는 11일부터 약 2주간 진행된다. 이번 연습은 병력과 장비를 실제로 기동하지 않고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진행하는 지휘소연습 형태로 진행된다. 연합뉴스

북한은 6일 외무성 대변인 명의의 담화를 발표하고 전날 시작된 하반기 한미연합연습에 반발하며 "새로운 길을 모색하지 않을 수 없게 될 수도 있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러면서도 "대화로 문제를 해결하려는 우리의 입장에는 변함이 없지만, 군사적 적대행위들이 계속되는 한 대화의 동력은 점점 더 사라지게 될 것"이라고 밝혀 대화의 여지는 남겼다.

외무성 대변인은 이날 "우리의 반발이 있을 것이라는 것을 뻔히 알면서도 우리를 자극하고 위협하는 합동군사연습을 기어코 강행하는 저의가 과연 어디에 있는가"라며 "미국과 남조선 당국은 우리로 하여금 국가안전의 잠재적, 직접적 위협들을 제거하기 위한 대응조치들을 취하도록 떠민 책임에서 벗어나지 못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미국 고위당국자는 5일(현지시간) 북한의 발사체 발사와 관련해 "우리는 상황을 계속 주시하고 있다"며 "한국과 일본 동맹과 긴밀히 상의하고 있다"고 답변했다.

한편, 한미 양국은 전시작전통제권(전작권) 전환에 초점을 맞춘 하반기 연합연습을 5일 시작했다. 이번 연습은 병력과 장비를 실제로 기동하지 않고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진행하는 지휘소연습(CPX) 형태로 진행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