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투자증권은 6일 일본의 경제 보복이 국내 제조업을 다시 키울 기회가 될 것으로 평가했다.
박정우·정희성·박소연 연구원은 "1965년 한일청구권협정으로 시작된 한일 경제구조가 2000년대 초반까지 한국이 일본에 의존하는 종속구조였다면 2000년대 중반 이후는 협력과 경쟁 관계로 바뀌었다"며 "이번 일본의 수출규제가 중장기적으로는 2000년대 이후 가속화된 국내 제조업 공동화의 흐름이 바뀌는 코리아 리쇼어링(reshoring) 기회가 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들은 "한국의 '백색국가'(화이트리스트) 제외에 따른 직접적인 타격은 소재부품 부분으로, 지난해 기준 한국 소재부품의 수입 규모 가운데 일본의 비중은 16.3%이고 그중 고무 및 플라스틱 제품(타이어 및 플라스틱 필름)이 43%로 가장 높은 의존도를 보였고 비금속 광물제품과 정밀기기가 각각 26.5%, 24.4% 순이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전체 소재부품에 대한 일본 의존도는 1990년대 34% 수준에서 크게 낮아진 것"이라며 "특히 소재 및 부품의 수입 대체를 유도하는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과 함께 기업들도 공급체인 변화를 통해 대응하고 있어 단기적으로는 국내 경기 전망에 대한 불확실성이 높아지겠으나,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일본 의존도가 낮아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일본이 한국을 백색국가에서 제외했지만 일본의 주요 수출기업들은 경제산업성으로부터 수출관리내부규정(ICP: Internal Compliance Program) 인증을 받아놓은 경우가 많기 때문에 백색국가와 동일한 수준의 '특별일반 포괄허가'를 받을 수 있고 당장 한국 기업들이 부품 수급에 차질을 빚을 것으로 보이진 않는다"고 예상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