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경제 보복 도발로 시작된 일제 불매운동이 번지고 형태도 다양해지고 있다. 단순히 물건 안 사기를 넘어 여행 가지 않기, 한·일 교류의 중단이나 연기, 일본 수입 원료 포함 물건조차 사지 말자는 현상도 나타나고 있다. 아예 '일본' 또는 '일'이란 글자가 들어간 가게나 음식점도 꺼리는 등 심상찮은 분위기여서 걱정스럽다.
문제는 이런 일로 빚어질 후유증이다. 정부 차원에서 경제 보복 극복을 위한 여러 대책들이 마련되는 모습과 달리, 민간 차원에서 벌어지는 이런 현상은 오히려 부작용을 낳을 우려가 크다. 자영업 초밥집 등 불매운동의 대상이 될 수 없는, 지극히 정상적인 영업 활동마저 불매운동 파도에 휩쓸려 벌써 피해와 고통을 호소하는 이웃 주민들의 하소연이 나오는 현실은 바로 그런 증거이다.
선량한 이들의 피해와 고통은 또 다른 후유증을 낳을 수밖에 없다. 가뜩이나 어려운 지역 경제에 나쁜 영향을 미치고 침체된 사회 분위기로 이어지게 마련이다. 아울러 애꿎은 피해자들의 정부에 대한 비판적 감정 대응을 초래할 가능성도 없지 않다. 이는 경제 보복 극복에 국민의 힘을 모아야 할 터에 되레 국민적 반감만 조성하고 분열마저 부추기는 악순환이 될 것이 틀림없다. 누구에게도 결코 도움되지 않는 결과이자 자해 행위나 다름없다.
정치적 계산을 노린 일부 정당과 정치인, 그들과 연결 고리를 가진 관련 단체와 기관 등에서 쏟아내는 선동적 언동에 휩쓸리지 않고 국민만큼은 분별있게 행동할 때다. 오로지 정파적인 이해득실에 민감한 그들과 멀어져야 한다. 불매 대상은 한정할 필요가 있다. 민간 차원에서의 대응에 지나친 감정 개입은 자제해야 한다. 계획된 여러 민간 교류 역시 멈추는 것이 능사가 아니다.
한국은 2만5천 명의 등록 일본인 등 250만 명 외국인이 함께 숨 쉬는 공유의 공간이다. 일본의 편협된 보복과 달리, 이제부터라도 남다른 대응으로 차원 높은 포용적 저력을 드러낼 좋은 기회로 삼을 만하다. 지금처럼은 아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