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젊은 표심 잡아라'…각당 청년 정책에 올인

내년 총선을 앞두고 청년 표심을 잡기 위한 정당들의 경쟁이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최근 모병제 도입에 이어 '청년신도시' 조성, '청년 주거 국가책임제' 등 청년 문제 해결을 위한 맞춤형 공약을 검토하면서 청년 공약 발굴에 안간힘을 쏟고 있다.

민주당은 총선 준비 기구에도 청년을 대거 투입하고 나아가 실제 선거에도 더 많은 청년을 출격시킨다는 방침이다. 일단 총선 후보 경선 심사 시 청년에 대한 가점 범위를 10∼20%에서 10∼25%로 확대하는 내용의 공천룰을 확정했다. 총선 비례대표의 청년 비중 확대를 위해 비례대표 후보 명단을 확정하는 국민공천심사단 구성원 절반을 20∼30대로 채우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민주당은 특히 총선기획단에 27세 프로게이머 출신 사회운동가 황희두 씨를 영입하는 등 전체(15명)의 약 4분의 1인 4명을 청년으로 채웠다.

자유한국당 황교안 대표는 오는 19일 홍익대 인근에서 청년정책 비전을 발표하며 본격적으로 청년정책 띄우기에 나선다. 이번에 발표될 비전은 내년 총선에서 제시될 청년 공약으로 이어질 전망이다.

한국당은 청년기본법 통과에도 힘을 쏟고 있다. 청년기본법은 '취업을 원하는 자'로 한정된 청년고용촉진특별법의 청년 규정을 '19∼34세의 사람'으로 확대하고, 고용·주거 등 다양한 분야에 청년정책을 도입할 수 있는 법적 근거를 마련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한국당은 또 지난 13일 소속 의원 전원이 발의에 참여한 고등교육법 개정안을 제출했다. 내년도 예산안 심사에서 '국가장학금 예산 증액' 방침도 정했다.

바른미래당은 '대학을 안 가도 되는 나라'를 청년정책 기조로 내세우며 청년 표몰이에 나섰다. 지난 2017년 대선에서 국민의당 후보였던 안철수 전 대표가 제시했던 '5-5-2' 학제 개편안을 '리메이크'해 총선 때 다시 선보이겠다는 것이다.

정의당은 내년 총선에서 청년층 지지율 20%를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정의당은 '병사 월급 100만원 시대'를 열겠다며 군 장병 월급을 최저임금에 맞추고, 심상정 대표의 지난 대선 공약이기도 했던 청년 사회상속제(상속제를 거둬 20세가 되는 청년에게 1천만원씩 배당하는 제도)의 지원 규모를 확대하는 정책을 검토 중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