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경북 구미 경제살리기 올인

장세용 구미시장, 김재상 구미시의회의장 전방위적으로 뛰어다녀

장세용(왼쪽에서 세번째) 경북 구미시장과 김재상(왼쪽에서 네번째) 구미시의회 의장이 7일 이방수(왼쪽에서 두번째) LG그룹 부사장을 만나 구미에 신규 투자 등을 건의했다. 구미시 제공
장세용(왼쪽에서 세번째) 경북 구미시장과 김재상(왼쪽에서 네번째) 구미시의회 의장이 7일 이방수(왼쪽에서 두번째) LG그룹 부사장을 만나 구미에 신규 투자 등을 건의했다. 구미시 제공

경북 구미시와 구미시의회가 장기적인 경기 침체를 겪고 있는 지역 경제 회생을 위해 국회 및 대기업을 찾아 구미국가산업단지 경쟁력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

장세용 구미시장과 김재상 구미시의회 의장은 이달 7일 LG그룹 본사를 방문해, 신규 투자 등을 요청했다.

장 시장과 김 의장은 이방수 LG그룹 부사장을 만나 LG전자 구미사업장 일부 생산라인 인도네시아 이전에 따른 구미사업장의 '마더팩토리(모태공장, 제품 개발과 제조의 중심이 되는 공장)' 역할을 건의했다.

또 대구·경북 통합신공항 신설 시 구미국가산업단지의 향후 경쟁력, 스마트 산단 조성과 산단 대개조 사업에 대한 LG그룹 차원의 참여와 구미하이테크밸리(구미국가 5단지) 인프라와 투자 인센티브 등을 LG측에 설명했다.

장 시장은 "1975년 금성사의 구미 산단 입주를 시작으로 구미산업단지 영광과 함께한 LG는 구미발전의 원동력일 뿐만 아니라 대구·경북의 미래"라며 그룹 차원의 신산업 구미투자와 LG화학의 이차전지 양극재 사업 관련 협력사의 동반투자를 요청했다.

이에 대해 이방수 LG그룹 부사장은 "구미는 LG 입장에서는 아주 특별한 지역"이라며 "앞으로도 고부가가치 사업을 지속적으로 창출해 더 많은 일자리를 만들고 지역 사회에 공헌하겠다"고 약속했다.

게다가 이 부사장은 현재 추진 중인 LG화학 구미투자와 관련 "LG화학의 구미투자가 차질 없이 착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구미국가산업단지에는 LG전자와 LG디스플레이, LG이노텍, 팜한농 등 4개의 LG그룹 계열사가 입주해 있다. 1만5천600여 명의 근로자가 OLED TV, TFT-LCD, 태양광모듈, 카메라모듈, 복합비료 등을 생산하고 있다.

또한 이날 장 시장과 김 의장은 국회에서 열린 '스마트 산단 발전 정책 세미나'에 참석해, 구미산단을 중심으로 한 서부권 동반 성장 방안 등에 대해 요구했다.

특히 지역 발전의 원동력인 국가 예산 확보를 비롯해 스마트산단, 산단대개조, 상생형일자리, 구미5산단 분양 활성화 방안 등 주요 경제 현안에 대해 각별한 관심과 지원을 촉구했다.

장세용 구미시장은 "구미경제 활력 회복에 총력을 다할 것"이라며 "대한민국 대표 산업단지인 구미산단의 활력과 명성을 되찾기 위해 전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