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기록적인 중국 폭우, ‘저염분수 제주바다 위협’

중국발 저염분수가 제주 연안 바다 피해 미칠 우려 높아.
1996년에도 저염분수로 제주연안 전복, 소라 씨 말라

제주 앞바다 전경
제주 앞바다 전경

중국 중부지역에 기록적인 폭우가 내리면서 '중국발(發)' 저염분수가 제주 바다에 피해를 미칠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제주도 해양수산연구원에 따르면 한달넘게 이어진 중국지역 폭우로 인해 지난 22일 기준 양쯔강 유출량은 초당 7만7천t에 달한다. 이는 지난 2016년 6만6천700t, 2019년 6만3천t에 비해 1만~1만4천t 가량 많은 양이다.

지난 14일에는 초당 8만2천t의 유출량을 기록하면서 2003년 해양수산연구원이 관측을 시작한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더욱이 중국 중부지역의 지속되는 폭우로 인해 세계 최대 댐인 샨사댐이 방류량을 늘릴 경우 양쯔강 하류 유출량도 늘어나, 저염분수에 의한 영향은 더욱더 커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저염분수는 바닷물 1㎏에 녹아있는 염분이 28g에 미치지 못하는 물을 말한다. 염분 농도에 적응해 살고 있는 바닷속 생물들에게는 엄청난 재앙이다. 지난 1996년 제주 서부 연안어장을 덮친 저염분수는 소라와 전복의 씨를 말렸다. 폐사한 해산물이 184t, 59억 원어치에 달했다.

제주 해양수산연구원은 8월 중순이나 하순쯤 제주도에 저염분수가 유입될 것으로 전망했다. 해양수산연구원이 앞서 저염분수 유입을 관측한 결과 제주에서 남서쪽으로 약 360㎞ 떨어진 동중국해에 저염분수가 위치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연구원 관계자는 "제주서쪽 연근해 염분실측을 진행하고 있으며 고수온·저염분수 유입 해양예보시스템을 운영하는 등 피해를 최소화하는데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밝혔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