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영상] 日대사관 앞 그린피스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철회"

2022년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저장 탱크 꽉 차
한국은 물론 일본 내에서도 오염수 방류 반대 선언 잇따라

국제 환경단체 그린피스가 후쿠시마 핵발전소 오염수 방류계획 철회를 촉구하고 나섰다.그린피스는 30일 오전 9시 서울 종로구 중학동 주한일본대사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일본 정부는 이달 31일 의견 수렴 활동을 종료하고 올해 안에 오염수 해양 방류를 확정할 가능성이 높다"며 "인접국 시민들의 삶을 크게 위협하고 있다"고 밝혔다.

장마리 그린피스 기후에너지 활동가는 "일본 정부는 코로나19로 인한 혼란을 틈타 지역 주민·산업계와 간담회를 열고 오염수 해양 방류에 대한 동의를 요청했다"며 "그러나 일본 정부의 계획을 저지하기 위한 일본 시민과 지역사회의 노력도 이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그린피스에 따르면 후쿠시마현 안에 있는 기초자치단체 59곳 중 20여곳에서 이미 오염수 방류 반대 결의안이 채택됐다. 일본 전국어업협동조합과 후쿠시마 어민, 4만명 이상의 일본 시민도 정부에 반대 입장을 제출한 상태다.

해당 후쿠시마 원전 부지에는 약 118만t의 오염수가 저장돼 있다. 오염수는 하루 평균 약 170t씩 증가하고 있어 2022년에는 137만t 규모의 저장 탱크가 꽉 찰 예정이다. 오염수는 별도 정화가 불가능한데다 62가지의 방사선 핵종이 녹아있어 인체와 생태계에 치명적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우리 정부도 지난해부터 오염수 방류 관련 강경대응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한일 정상회담에서 아베 일본 총리에게 직접 오염수 문제의 우려를 표하기도 했지만 일본 정부는 "국제 기준에 어긋나지 않는다"고 주장하며 해양 물질 방류에 대한 완고한 주장을 표하고 있다. 일본 정부는 이달 31일 자국에서의 의견 수렴 공론화를 종료한다.

그린피스는 이날 일본대사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오염수 방류 반대 서한을 대사관 측에 전달하기도 했다. 서한에는 지난 1년 동안 모인 한국 시민 8만여명의 서명도 첨부됐다.장 활동가는 "일본 정부는 오염수 방류가 국제적 문제라는 것을 알면서도 의견 공모를 지속하고 있다"며 "사안을 축소하려는 시도를 용납할 수 없다"고 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