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대 한국 수출규제가 2년이 가까워진 가운데, 소재·부품 분야에서 우리나라의 대일 의존도가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지난 2019년 7월 일본 수출규제를 계기로 국내 기업들이 해당 분야에서 공급망 안정화 등을 꾀하며 경쟁력을 높인 결과로 해석된다.
3일 산업통상자원부 소재부품 종합정보망에 따르면 올해 1~4월 한국의 소재·부품 누적 수입액 647억9천500만달러 중 일본 제품은 96억9천600만달러로 15.0%의 비중을 차지했다.
이 비중은 전년 동기 16.1%보다 1.1%포인트(p) 낮아진 것이며, 관련 통계 작성을 시작한 2001년 이후 20년 만에 가장 낮은 수치다.
일본 제품 소재·부품 수입 비중은 2003년 28.0%로 최고점을 찍은 뒤 점차 낮아져 2014년 18.2%를 기록했고, 이후 17%대에 머물다가 2019년 15.9%로 떨어졌다.
정부는 일본 수출 규제 직후 '소재·부품·장비 경쟁력 강화 대책'을 발표하고 관련 기술 국산화 지원과 투자, 공급망 다변화에 나섰다.
일부 기업들은 반도체 관련 장비 국산화에 성공했고, 핵심 품목의 수입처를 다변화하며 탈(脫)일본에 앞장섰다.
다만 일본과의 소재·부품 교역에서 우리나라 무역적자는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 올해 1~4월 일본과 소재·부품 교역에서 53억9천600만달러의 적자를 냈는데 이는 전년 동기보다 7억900만달러 늘어난 규모다.
한국은 일본에 지난해보다 6.2% 늘어난 43억달러를 수출했지만, 수입액(96억9천600만달러)은 수출액의 배가 넘었다.
일본과의 소재·부품 적자는 대일 무역적자의 주된 원인으로, 지난 4월까지 전체 대일 무역적자는 78억9천400만달러로, 소재·부품 분야 적자가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