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원격 및 사이버대학 입학자 수는 작년보다 늘어난 반면 방송통신대학(방송대) 입학자 수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지난해 이들 대학 입학자 10명 중 7명은 만학도인 것으로 집계됐다.
종로학원은 1999년부터 2021년 고등교육기관 학교 종류별 입학자 수를 비교, 분석해 1일 이 같이 밝혔다.
이번 발표에 따르면 올해 원격 및 사이버대학에 입학한 학생 수는 3만8천273명으로 전년 대비 4천206명(12.3%) 늘었다. 이는 2004년 설립 이후 가장 많은 기록. 또 고등교육기관 전체 입학자(69만7천317명) 중 차지하는 비율도 2021년 5.5%로 2014년(1.6%)보다 3.9%포인트(p) 증가했다.

반면 방송통신대학에 입학한 학생 수는 1만2천670명으로 전년보다 491명(3.7%) 감소했다. 이는 1999년 통계 이후 가장 적은 기록. 또 고등교육기관 전체 입학자 중 차지하는 비율은 2021년 1.8%로 1999년(6.2%)보다 4.4%p 줄었다.
최근 방송통신대 입학자가 지속적으로 줄어든 것은 대체제로 사이버대학이 등장한 것에 더해 전문대, 대학 이수율이 높아졌기 때문이라는 게 종로학원 측의 분석이다. 25~34세의 고등교육(전문대, 대학) 이수율은 2019년 기준 61.5%에 이른다.
이와 달리 사이버대학으로 향하는 발길은 늘고 있는 추세. 이는 입학 자격이 자유롭고 실생활 또는 현장 직업에 필요한 강좌가 다양하게 설계돼 있어서다. 여기다 온라인으로 학습할 수 있는 편리함 등이 종합적으로 작용해 입학자 수가 크게 증가했다는 해석이 나온다.
또 2020년 원격 및 사이버대학과 방송통신대학에 입학한 학생 가운데 26세 이상 만학도는 10명 중 7명꼴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대학, 일반대학, 교육대학과 비교해 월등히 높은 수치다.
2020년 원격 및 사이버대 입학자 중 만학도 비율은 73.6%. 방송통신대 입학자 가운데 만학도 비율도 74.4%로 상당히 높은 편이었다. 이와 달리 일반대의 만학도 비율은 1.4%, 교육대는 3.7%에 그쳤다. 전문대도 10.7% 정도만 만학도인 것으로 집계됐다.
오종운 종로학원 평가이사는 "원격 및 사이버대학, 방송통신대학에서 만학도 비율이 크게 높은 건 직장생활을 하거나 일상생활을 하면서도 원거리 학습이 가능하고 실생활 또는 은퇴 후 제2의 직업을 가질 때 편리하게 대비할 수 있어서다"며 "상당수 30, 40대 이상 직장인 또는 주부, 은퇴자들이 이런 곳을 선택한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