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태양광·풍력발전 설비 시장이 중국과 유럽 등 외국산 제품에 급속히 잠식당하고 있다. 배준영 국민의힘 의원이 관세청에서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17년부터 올해 8월까지 태양광·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기자재 수입액 533억 원 가운데 중국산 수입액이 89.5%인 477억 원에 달했다. 정부의 태양광·풍력 밀어주기가 중국 업체들 배만 불려준 꼴이다.
정부가 무리하게 밀어붙이는 신재생에너지 확대 정책이 중국 등 외국 기업들에 잔칫상을 차려주는 실정이다. 윤영석 국민의힘 의원이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태양광 모듈 경우 국산 비중이 2019년 78.4%에서 작년 64.2%로 1년 새 14.2%포인트 줄었다. 세계 시장의 80%를 점유하는 중국이 저가를 무기로 점유율을 35.7%로 대폭 높인 결과다. 풍력 터빈 설비 국산 비중은 2016년 70.3%에서 작년 37.7%로 격감했다. 그 빈자리를 덴마크(43.9%) 중국(10.4%) 독일(7.9%)이 차지했다.
신재생에너지 확대 정책을 추진하면서 정부는 국내 산업 육성과 일자리 창출을 내세웠지만 실상은 정반대다. 태양광 업체는 2017년 118개에서 지난해 97개로 줄었고, 일자리는 8천360개에서 1천 개 가까이 없어졌다. 풍력 관련 기업과 고용도 같은 기간 20% 이상 줄었다. 국내 기업들이 기술·가격 경쟁력을 제대로 갖추지 않은 상황에서 정부가 신재생에너지 확대 정책을 강행한 바람에 중국 등 외국 기업들의 잔치판이 된 것이다.
탈원전 및 신재생에너지 확대 정책이 막대한 폐해를 낳고 있다. 그런데도 정부는 태양광·풍력을 2050년까지 64배 확대해 전체 발전량의 62.3%로 늘리는 반면 원자력 비중을 3분의 1로 줄일 계획이다. 중국 등 외국 기업들의 배만 계속 불려 주겠다는 것이다. 발전 단가가 비싼 태양광·풍력 비중이 높아지면 전기요금 인상이 불가피하다. 외국 기업들에 잔칫상을 차려주고 국민에게 더 오른 전기요금 청구서를 들이밀겠다는 정부는 도대체 어느 나라 정부인가.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