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시교육청, 내년 예산 3조7천232억원 편성

무상급식, 전체 학교로 확대하는 데 1천855억원
중·고교 신입생 무상교복 지원에 118억원 투입
노후 시설 개선과 내진 보강 등에 1천483억원

대구시교육청 전경. 시교육청은 1일 내년 예산안 3조7천232억원을 편성해 대구시의회에 제출했다고 밝혔다. 매일신문 DB
대구시교육청 전경. 시교육청은 1일 내년 예산안 3조7천232억원을 편성해 대구시의회에 제출했다고 밝혔다. 매일신문 DB

내년 무상급식을 유치원까지 확대, 대구 전체 학교에 무상급식을 시행하는 데 1천855억원을 투입한다. 대구 중학교에 이어 고교 신입생에게 무상교복 혜택을 주는 데 118억원을 쓴다.

대구시교육청은 1일 2022학년도 예산안으로 모두 3조7천232억원을 편성해 대구시의회에 제출했다고 밝혔다. 교육력 회복과 학부모 교육비 부담을 줄여주는 데 초점을 맞춰 예산안을 만들었다는 게 시교육청의 설명. 이번 예산안은 시의회 심의를 거쳐 12월 16일 최종 확정된다.

세입 예산은 정부 세수 확대에 따른 보통교부금 증가, 자체수입 증가 등으로 올해 3조3천497억원보다 3천735억원(11.2%) 늘었다. 세출 예산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건 교직원 인건비(61.2%). 올해보다 1천125억원(5.2%) 늘어난 2조2천789억원이 편성됐다.

분야별로 나눠볼 때 특히 눈에 띄는 것은 무상급식과 무상교복 관련 예산. 내년 유치원까지 무상급식을 확대, 전체 학교에 무상급식을 시행하는 데 1천855억원을 투입한다. 또 중학교 신입생에 이어 내년 고교 신입생까지 무상교복을 지원하는 데 118억원을 책정했다. 학비, 토요일과 공휴일 중식비, 방과후자유수강권 등 우선 배려 학생을 지원하는 데 쓸 예산은 748억원이다.

맞춤형 교육을 내실화하는 데도 신경을 쓴다. 누리과정 무상교육과 사립유치원 지원 등 유아교육의 공공성을 강화하고 질을 높이는 데 1천897억원을 편성했다. 신산업 수요에 맞춰 직업계고를 재구조화하고 취업 역량을 강화하는 사업에 306억원을 지원한다.

학교 교육환경에 변화를 주는 사업에 사용할 예산도 적지 않다. 노후 시설 개선과 석면 제거, 시설 내진보강 공사 등 교육환경을 개선하는 데 1천483억원을 쓰기로 했다. 학교 공간 혁신 등에 449억원, 무선랜과 스마트기기 확충에 262억원, 학교 신설과 일반교실 증축에 354억원이 배정됐다.

강은희 대구시교육감은 "4차 산업혁명, 인공지능, '위드 코로나' 등 변화하는 사회상에 맞춰 우리 아이들의 역량을 키울 수 있도록 다양한 의견을 담아 정책을 추진할 것"이라고 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