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시험 특별방역 기간이 운영된다. 이 기간 입시학원 등에 대한 방역 상황을 집중 점검한다. 수험생 확진자가 많은 곳은 별도 시험장을 추가로 확보한다.
교육부는 4일 이 같은 내용을 중심으로 한 '안전한 2022학년도 수능 및 대학별 전형을 위한 집중 방역관리' 대책을 밝혔다. 단계적 일상회복(위드 코로나)으로 코로나19가 확산할 수 있다는 판단에서 시행하는 조치다.
교육부, 각 시·도교육청은 수험생이 밀집할 것으로 보이는 곳에 대해 방역 상황을 점검한다. 전국 320개 입시학원을 비롯해 PC방, 노래방, 스터디카페 등이 그 대상이다. 관계부처, 지자체와 협력해 점검한다.
교육부는 또 수능시험 이후 대학별 전형이 시행되는 대학에 대해 방역 상황을 확인한다. 또 대학의 자체 방역계획과 사전 준비 등도 점검한다. 전형 시행일에 대학가 주변 방역을 관리하고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지자체에도 협조를 요청할 예정이다.
교육부는 수능시험이 치러지기 3주 전인 지난달 28일부터 질병관리청, 한국교육과정평가원과 함께 수험생 확진자, 격리자 발생 상황을 확인 중이다. 이를 통해 확진자가 증가하는 지역 경우 병원, 생활치료센터 시험장을 추가로 확보할 계획이다.
지난달 27일을 기준으로 전국에 마련된 일반시험장은 1천251곳, 별도시험장은 112곳(602개 시험실), 병원·생활치료센터는 30곳(244병상)이다. 별도시험장은 격리 수험생, 병원 및 생활치료센터는 확진 수험생이 시험을 치르는 곳이다.
시험 일주일 전인 11일부터는 전체 고교가 원격수업으로 전환한다. 수능시험 전날인 17일 보건소에선 수능시험 지원자에 대해 신속하게 유전자증폭(PCR) 검사를 진행한다. 검사 시간 역시 오후 10시까지 연장한다. 양성 판정이 나온 경우 수능시험 당일에도 바로 해당 지역병원 또는 생활치료센터에 배정, 시험을 치를 수 있게 한다.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은 "수험생이 수능시험과 수능시험 이후 이어지는 대학별 전형을 안전하게 치르기 위해서는 정부의 노력과 더불어 수험생과 그 가족이 방역 수칙을 준수해야 한다"며 "수험생들이 안전하게 대입을 준비할 수 있도록 국민 모두 방역 수칙을 준수해주시길 부탁드린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