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 등에 따라 라면 가격이 약 13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올랐다. 원재료 가격 급등으로 빵, 식용유, 소금 등 기타 가공식품 가격도 고공행진을 이어갔다.
7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10월 가공식품 소비자물가지수는 109.89(2015년=100)로 1년 전보다 3.1% 올랐다. 이는 지난 2014년 11월(3.3%) 이후 6년 11개월 만에 가장 큰 것이다.
품목별로 보면 라면 가격이 1년 새 11.0% 올랐다. 2009년 2월(14.3%) 이후 12년 8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뛰었다. 원자재 가격 상승과 글로벌 공급망 차질 여파 등에 따라 지난 8월부터 라면 업체들이 줄줄이 라면 출고가를 인상한 탓이다. 밀가루 가격 상승 영향으로 국수(19.4%), 비스킷(6.5%), 파스타면(6.4%), 빵(6.0%), 스낵 과자(1.9%) 가격도 전반적으로 올랐다.
밀 등 주요 곡물의 수요는 느는데 공급은 줄어드는 세계적인 현상에 따라 가격 상승 압박은 커질 수 있어 향후 가공식품 가격이 더 올라갈 가능성도 있다. 유엔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곡물·유지류·육류 등 주요 식량 품목의 국제 가격을 지수화한 세계식량가격지수는 지난 10월 기준으로 전월보다 3.0% 상승한 133.2포인트(2014∼2016년 평균=100)로 집계됐다. 이는 2011년 이후 최고치다.
김장철을 맞은 가운데 소금 가격은 1년 전보다 23.9% 올랐다. 이는 지난달 가공식품 중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소금 가격은 지난 8월과 9월엔 각각 14.6%, 9월엔 18.0% 올랐다. 이외 막걸리(17.5%), 드레싱(14.3%), 식용유(12.3%)도 두 자릿수의 가격 상승률을 보였다. 고추장(8.3%), 물엿(8.0%), 식초(6.2%), 설탕(6.0%), 참기름(4.8%) 등 조미료 가격도 올랐다. 우유와 주스 가격도 각각 4.3%, 3.9% 올랐다.
장바구니 물가뿐 아니라 외식 물가도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달 외식 물가지수는 115.10(2015년=100)으로 1년 전보다 3.2% 상승해 2018년 11월 이후 2년 11개월 만에 가장 크게 상승했다. 품목별로는 생선회(이하 외식 가격)가 8.8% 올라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고, 죽(7.6%), 막걸리(7.4%), 갈비탕(6.5%) 등이 뒤를 이었다. 김밥 가격도 4.8%, 밖에서 사 먹는 라면 가격도 3.9% 각각 올랐다. 서민 체감 물가와 직결되는 생활물가지수는 지난달 4.6% 급등했다. 2011년 8월(5.2%) 이후 10년 2개월 만의 최대 상승 폭이다.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