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몇 년간 캐나다에서는 원인 모를 뇌질환이 발병해 그 원인을 찾기 위한 의학 전문가들과 보건 당국간의 논쟁이 벌어지고 있다.
17일(현지시각) 가디언은 캐나다 동부지역에서 지난 2년 간 원인을 알 수 없는 고통과 경련, 행동변화를 경험한 환자들이 발생했다며 이 같은 내용을 보도했다. 이들은 인지력 저하, 근육 소모, 침흘림, 치아의 떨림과 환각 등의 증세를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현지 보건당국은 현재까지 이와 관련된 총 48의 감염 사례를 공개적으로 인정했으나, 의학 전문가들은 가디언과의 인터뷰에서 이 질병에 걸린 환자가 100여 명이 넘어섰다고 주장했다.
언론 보도에 따르면 해당 질병은 2015년 첫 의심 사례가 보고된데 이어 4년 뒤인 2019년에는 11건, 2020년 24건으로 늘어났다. 이 가운데 8명은 사망하기도 했다. 하지만 지역 주민들은 지난해 각 병원이 보건 당국에 보고한 메모가 유출되면서 이 질병의 존재에 대해 알게됐다.
의학 전문가들은 환자 대부분이 뉴브런즈윅주에서도 인구 밀도가 낮은 지역에 거주한다는 공통점을 들어 이 질병이 환경적 요인이나 오염물질에 의해 발병했을지 모른다고 보건당국에 관계조사를 촉구했다.
이에 보건당국이 해당 질병을 '집단 발병'으로 보고 1년 가까이 사례들을 추적 조사했으나 지난 10월 말 식품, 행동, 환경 노출 등 환경적 요소에 의한 것이라는 증거를 발견하지 못했다는 보고서를 발표했다. 또 사례들 간의 연결고리가 없다며 사건 종결 선고를 서둘렀다.
유족과 환자 보호자들은 "당국이 사망한 환자들의 조직 샘플 검사를 금지했다"고 폭로하며 보건당국의 조사 결과에 강하게 반발했다. 의학 전문가들도 당국의 조사 결과를 "믿을 수 없다"며 질병 사례들 사이 아무런 연관성이 없다는 결과에 의구심을 제기했다.
한편, 현재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뉴브런즈윅의 가장 큰 경제원인 랍스터가 원인일지 모른다는 의견이 커지고 있다. 랍스터에서 신경독성 물질인 BMAA(베타-메틸아미노-L-알라닌)가 다량으로 검출된다는 연구 결과가 있기 때문. BMAA는 알츠하이머와 루게릭 등 퇴행성 뇌질환의 유발물질 중 하나로 알려져있다.
때문에 연방 과학자들이 이 질병으로 사망한 환자들의 환경 독소와 관련된 뇌 조직 검사를 시도하려 했으나 당국에 의해 연구허가를 거부당한 것으로 전해졌다.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