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의 주택 노후가 갈수록 심해지면서 이에 대한 대비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크다.
지은 지 20년이 넘은 아파트에 사는 가구수와 단독주택 비율이 각각 50%와 80%를 넘어 10년 이후 주거환경이 악화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24일 대구시에 따르면 2020년 기준 대구 아파트 57만7천36가구 중 2001년 이전에 지어져 20년이 지난 곳이 29만1천93가구로, 50.4%에 이르렀다. 1991년 이전에 건설돼 30년이 넘은 경우도 15.6%인 9만284가구를 차지했다.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에 따르면 준공된 지 20년이 지난 건물은 노후 건축물로 분류되고, 30년 이상 된 건물은 안전등급평가를 받아야 한다.
지역별로 보면 대구의 20년 이상 된 아파트 경우 달서구가 32.8%(9만5천566가구)로 가장 많았다. 이어 북구와 수성구가 각각 19.7%(5만7천460가구)의 비율을 보였다.
특히 취약계층을 위한 공공임대 아파트의 경우 전체 5만2천402가구 중 20년 이상 된 곳이 40.7%인 2만1천327가구를 차지할 만큼 노후화 비율이 높았다. 노후 공공임대 아파트 중 54.6%(1만1천676가구)가 달서구에 있다. 다음으로 수성구 22%(4천700가구), 동구 9.1%(1천952가구), 북구 8.7%(1천862가구) 등의 순이었다.
단독주택의 노후화 비율은 더 심했다. 지난해 기준 대구의 전체 단독주택 14만2천457호 중 81.0%인 11만5천360호가 지어진 지 20년 이상 지났다.
이처럼 노후 주택이 많은 이유는 1990년대 100만 호 공급정책에 따라 주택 개발이 집중적으로 이뤄졌기 때문이다. 특히 오래된 아파트가 몰려 있는 달서구와 수성구, 동구 등은 택지개발을 통해 대규모 아파트 단지가 들어선 곳이다. 대구에는 2001~2010년 지어진 아파트도 많아 10년 안에 낡은 주택 문제가 주요한 도시문제로 불거질 수 있다.

권용석 대구경북연구원 미래전략연구실 연구위원은 "30년 된 아파트들이 급증하게 된다. 이에 대한 준비가 필요하다"며 "사업성이 없다고 평가되는 곳은 재건축이 이뤄지지 않고 방치돼 슬럼화가 진행되면서 우범지역이 될 우려가 있다"고 했다.
또 "사업성이 높은 지역에서 재건축하는 경우 이미 개발된 상태인 주변 건물 소유주들과 경쟁 관계가 돼 층수 경쟁 등 권한 싸움이 발생할 수 있다. 행정 서비스나 공원 녹지 등 한정된 인프라로 인해 특정 지역에 아파트가 몰리면서 갈등이 불거지게 된다"며 "사업성에 따라 양극화가 발생하고 지역 내 불균형이 심해질 수 있기에 주거환경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