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의 주택 노후가 갈수록 심해지면서 이에 대한 대비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크다.
지은 지 20년이 넘은 아파트에 사는 가구수와 단독주택 비율이 각각 50%와 80%를 넘어 10년 이후 주거환경이 악화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24일 대구시에 따르면 2020년 기준 대구 아파트 57만7천36가구 중 2001년 이전에 지어져 20년이 지난 곳이 29만1천93가구로, 50.4%에 이르렀다. 1991년 이전에 건설돼 30년이 넘은 경우도 15.6%인 9만284가구를 차지했다.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에 따르면 준공된 지 20년이 지난 건물은 노후 건축물로 분류되고, 30년 이상 된 건물은 안전등급평가를 받아야 한다.
지역별로 보면 대구의 20년 이상 된 아파트 경우 달서구가 32.8%(9만5천566가구)로 가장 많았다. 이어 북구와 수성구가 각각 19.7%(5만7천460가구)의 비율을 보였다.
특히 취약계층을 위한 공공임대 아파트의 경우 전체 5만2천402가구 중 20년 이상 된 곳이 40.7%인 2만1천327가구를 차지할 만큼 노후화 비율이 높았다. 노후 공공임대 아파트 중 54.6%(1만1천676가구)가 달서구에 있다. 다음으로 수성구 22%(4천700가구), 동구 9.1%(1천952가구), 북구 8.7%(1천862가구) 등의 순이었다.
단독주택의 노후화 비율은 더 심했다. 지난해 기준 대구의 전체 단독주택 14만2천457호 중 81.0%인 11만5천360호가 지어진 지 20년 이상 지났다.
이처럼 노후 주택이 많은 이유는 1990년대 100만 호 공급정책에 따라 주택 개발이 집중적으로 이뤄졌기 때문이다. 특히 오래된 아파트가 몰려 있는 달서구와 수성구, 동구 등은 택지개발을 통해 대규모 아파트 단지가 들어선 곳이다. 대구에는 2001~2010년 지어진 아파트도 많아 10년 안에 낡은 주택 문제가 주요한 도시문제로 불거질 수 있다.

권용석 대구경북연구원 미래전략연구실 연구위원은 "30년 된 아파트들이 급증하게 된다. 이에 대한 준비가 필요하다"며 "사업성이 없다고 평가되는 곳은 재건축이 이뤄지지 않고 방치돼 슬럼화가 진행되면서 우범지역이 될 우려가 있다"고 했다.
또 "사업성이 높은 지역에서 재건축하는 경우 이미 개발된 상태인 주변 건물 소유주들과 경쟁 관계가 돼 층수 경쟁 등 권한 싸움이 발생할 수 있다. 행정 서비스나 공원 녹지 등 한정된 인프라로 인해 특정 지역에 아파트가 몰리면서 갈등이 불거지게 된다"며 "사업성에 따라 양극화가 발생하고 지역 내 불균형이 심해질 수 있기에 주거환경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