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정부에서 공공기관 2차 이전이 사실상 무산 수순을 밟고 있는 가운데 공공기관 이전 효과가 사라지자 수도권 인구 쏠림 현상이 다시 시작된 것으로 드러났다.
통계청은 29일 이러한 내용의 '2020 인구주택총조사 표본 집계 결과 인구 특성 항목'을 발표했다.
지난해 11월 1일 기준 1년 새 수도권 밖에서 수도권으로 전입한 인구는 97만8천명, 수도권에서 비수도권으로 전출한 인구는 86만2천명으로 집계됐다.
11만6천명이 수도권으로 순수하게 유입된 것이다.
이는 지난 2015년 수도권에서 8만5천명이 순유출됐던 것과 대조된다. 2010년에는 3천명이 수도권으로 순유입됐었다.
정남수 통계청 인구총조사과장은 "2015년에는 수도권에서 혁신도시, 세종시 등으로 유출될 요인이 있었는데 지난해에는 유출 요인이 없어져 수도권 집중화가 다시 시작됐다"며 "수도권 중에서도 경기로의 유입이 심화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수도권 인구 집중이 계속되다가 2015년 추진된 혁신도시로 인해 한 차례 지방 분산 효과가 나타났으나 단기간 효과에 그쳤다는 것이다.
혁신도시는 공공기관 지방 이전을 계기로 대구와 부산, 울산, 경남, 제주, 광주·전남, 강원, 충북, 전북, 경북 등 10곳에 조성된 도시다.
공공기관 지방 이전은 지난 2005년 계획이 수립된 뒤 2014년부터 본격적으로 이뤄졌고 2019년 마무리됐다.
수도권으로 전입한 인구 규모를 보면 충남(6만2천명)이 가장 많았고 강원(4만6천명), 충북(3만5천명) 등 순이었다.
수도권 내에서도 경기로의 쏠림도 두드러졌다.

전입 인구가 전출 인구보다 많아 인구가 증가한 시·도는 경기(17만6천명), 경남(1만5천명), 세종(1만명) 등이다.
서울에 살다가 지난해 경기로 이동한 인구는 26만6천명, 경기에서 서울로 이동한 인구는 18만명이었다.
서울에서 경기로 8만6천명이 순유입된 것이다.
전출 인구가 전입 인구보다 많은 시·도는 서울(4만8천명), 부산(2만7천명), 경북(2만7천명) 순이었다.
정 과장은 "경기 김포·동탄 등에 아파트 신규 입주가 많이 이뤄져 경기로 인구가 빠져나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지난해 11월 1일 기준 1년 전과 거주지가 달라진 1세 이상 인구 비율을 가리키는 1년 전 거주지 이동률은 16.6%로 2015년 조사 대비 0.5%포인트(p) 상승했다.
이 가운데 시군구 경계를 벗어난 이동률은 7.2%로 1.6%p 올랐다.
아울러 우리나라 인구의 출생지를 보면 서울이 16.3%로 가장 많고 경기(13.6%), 경북(8.7%) 순이었다.
12세 이상 인구의 통근·통학률은 61.8%로 2015년(66.7%)에 비해 4.9%p 감소했다.
정 과장은 "코로나19의 영향으로 통근·통학하는 인구 비중이 감소했고 교통수단 측면에서도 대면 접촉을 피하고자 개인 이용수단 이용은 늘고 다중 이용 수단 이용은 줄었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