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에서 '소재・부품・장비(이하 소부장)' 산업을 책임질 유망기업들이 좀처럼 나오지 않으면서, 지역 제조업의 혁신이 지체되고 있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됐다. 위기 신호가 감지된 만큼, 지자체의 체계적이고 장기적인 소부장 기업 육성정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지난달 29일 중소벤처기업부가 발표한 '2021년 소부장 강소기업' 20개사 중 대구경북 기업은 단 한 곳도 없었다. 지난 수십 년간 국내 제조업 중심지로 불린 위상에 걸맞지 않은 결과다.
강소기업 100+ 사업은 중기부가 국내 소재, 부품, 장비 분야의 기술자립도를 높이고 미래 신산업 창출에 기여할 유망 중소기업을 선정하는 것이다. 2019년 시작돼 2020년과 올해까지 전국 120개사를 선정했다.
특히 올해의 경우 비수도권 기업 선정 비율이 60%로 역대 최고 수준이었기에, 이번 결과가 더욱 뼈아프게 다가온다.
지금까지 선정된 소부장 강소기업을 모두 놓고 봐도, 지역의 부진은 매한가지다.
지역별 선정된 기업 수를 보면 ▷경기 50개사 ▷충북 12개사 ▷경남 11개사 ▷충남 11개사 ▷대전 6개사 ▷부산 6개사 ▷광주 4개사 ▷경북 4개사 ▷대구 3개사 ▷세종 3개사 ▷인천 3개사 ▷서울 2개사 ▷울산 2개사 ▷강원 1개사 ▷전남 1개사 ▷전북 1개사 등이다.
전체를 통틀어 봐도 대구와 경북은 중위권 수준을 면치 못했고, 대구경북 기업을 전부 합쳐도 전체의 5.8% 수준에 불과한 것이다.
이처럼 실망스러운 결과에 대구시와 경북도의 소부장 육성정책이 너무 안일한 것 아니냐는 비판도 나온다.
대구시와 경북도는 특히 지난해 산업통상자원부의 소부장 특화단지 추진계획에 따른 공모에 지원조차 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빈축을 사기도 했다.
대조적으로 해당 사업에 지원한 경기(반도체), 전북(탄소소재), 충북(2차전지), 충남(디스플레이), 경남(정밀기계) 등 5개 지자체는 규제개혁 및 기반시설 개선 등을 정부로부터 지원받으며 관련 산업 생태계 조성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번 결과를 두고, "준비의 부족함이 여실히 드러난 지점"이라고 진단하며 "기업의 수요를 반영한 육성정책을 세워 장기적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김용현 대구경북연구원 연구위원은 "잠재력 있는 소부장 기업이 지역에 얼마나 있느냐는 곧 제조업 원천기술을 얼마나 보유하고 있느냐와 같은 문제다. 전방산업의 기저를 튼튼히 다져야 후방산업의 성장을 기대할 수 있는 것"이라며 "이번 결과를 교훈 삼아 지자체와 기업지원기관들이 함께 기업의 수요를 중심에 둔 연구지원, 마케팅 지원 등 육성정책을 만들고 장기적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