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0년에 한국인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평균 수명이 가장 길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반대로 가임 여성 한 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출생아 수는 가장 적을 것으로 보인다.
통계청이 최근 발표한 '장래인구추계: 2020∼2070년' 자료를 13일 보면 기본 시나리오에서 한국인의 2070년 기대수명은 91.2세(남자 89.5세·여자 92.8세)다.
2070년에 태어난 아이는 91.2세까지 살 것으로 기대된다는 의미다. 2020년 출생아의 기대수명(83.5세)보다 7.7년 길다
통계청은 2065∼2070년 한국인의 평균 기대수명은 90.9세로 OECD 38개 회원국 가운데 가장 높을 것으로 내다봤다.
노르웨이(90.2세), 핀란드(89.4세), 일본·캐나다(89.3세) 등을 앞지른다. 기대수명이 가장 짧은 아일랜드(82.0세)보다는 8.9년 길다.
한국인의 기대수명은 1970년 62.3세에서 1980년 66.1세, 1990년 71.7세, 2000년 76.0세, 2010년 80.2세, 2020년 83.5세 등으로 최근 50년간 21.2년이나 늘었다.
기대수명이 인구의 건강 상태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지표 중 하나라는 점에서는 긍정적이다.
높은 기대수명은 인구 감소를 더디게 하는 효과도 있다.
출산율과 기대수명, 국제이동을 모두 중간값으로 가정한 중위 시나리오에서 2070년 한국의 인구는 3천766만명이다. 2020년 인구(5천184만명)보다 1천418만명 적다.
만약 출산율과 국제이동 전망은 그대로 두고 기대수명 전망치만 낮은 값(89.8세)으로 바꾸면 2070년 총인구가 3천669만명으로 100만명 가까이 더 줄어든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