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 주요 정책과 관련한 여론조사에서 '대구공항 통합이전, 대구시청 신청사 건립, 취수원 다변화' 등 3대 숙원사업 해결방안 마련에 대한 인지도와 평가가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민 실생활과 밀접한 정책인 '대구행복페이'와 대구형 배달앱 '대구로' 등도 높은 평가를 받았다.
대구시는 지난달 17일부터 일주일간 ㈜소셜테이타리서치에 의뢰해 시민 1천43명을 대상으로 주요 시정에 대한 의견을 조사했다.
조사 결과 대구시 3대 숙원사업 인지도는 대구공항 통합이전 90.3%, 대구시청 신청사 건립 84.5%, 취수원 다변화 51.6% 등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들 숙원사업의 해결방안을 마련한 것에 대한 평가는 긍정평가 72.8%, 부정평가가 26.1%로 호평이 높았다.

현재 대구시 주요 핵심사업인 '5+1 미래신산업' 가운데 가장 기대되는 사업은 '미래형 자동차 산업', '의료산업', '도심 공간구조 대변혁 사업' 순이었다. 실생활에 가장 도움이 되는 사업으로는 '도시철도 엑스코선 건설'과 '서대구역세권 대개발'이 1~2위를 차지했다.
최근 시민들이 실생활에서 체감할 수 있는 사업인 '대구행복페이'와 '대구로(대구형 배달앱)'에 대한 인지도는 각각 76.9%, 54.5%로 나타났으며, 두 사업의 이용 경험도는 각각 52.6%와 28.2%로 조사됐다.
'대구행복페이'의 월평균 이용금액은 이용 경험이 있는 응답자의 58.2%가 30만∼50만원 정도였고, 앞으로 이용 비중을 지금처럼 유지하겠다는 의견은 56.9%, 더 늘리겠다는 의견은 36.5%이었다. 향후 '대구행복페이' 발행 규모를 현재보다 더 확대해야 한다는 의견도 43.8%로 높게 나왔다.
'대구로'는 아직 이용 경험도는 낮았으나 이용 경험이 있는 응답자들의 80.5%가 긍정 평가했다. 향후 사업 규모를 보다 확대해야 한다는 의견이 63.9%로 주를 이뤘다.

단계적 일상회복 시기에 시민들이 생각하는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가 필요한 분야는 '사적모임 인원제한' 완화가 가장 높게 나왔고, 시민에게 가장 필요한 지원 방안은 '소상공인 지원금 등 경제지원 정책'이 최우선 정책으로 꼽혔다.
시민 절반가량은 향후 대구시 경제가 나아질 것으로 예상했다. 대구 경제 발전 가능성에 대해 52.0%가 나아질 것이라고 응답했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25년 만에 결정된 대구공항 통합이전, 30년이 걸린 취수원 다변화 해법 마련, 그리고 15년을 고심한 대구시청 신청사 건립 등 3대 숙원사업의 해결에 시민들의 많은 참여와 지원이 있었다"며 "앞으로 필요한 행정절차를 통해 시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내도록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