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오후 10시 30분쯤 대구 수성구 황금동 한 스터디카페. 출입구에는 백신 접종 완료나 음성 확인서를 제출해야만 입장이 가능하다는 안내문이 붙었다. 안으로 들어가 좌석 이용 현황이 켜진 모니터를 보니 67석 중 12석만이 이용 중이었다. 그마저도 방역패스가 적용되지 않는 고등학생들이 대부분이었다.
이곳 주인 A(44) 씨는 "스터디카페는 이용객이 혼자 오기 때문에 타인과 접촉 빈도가 낮다. 공부하는 분위기상 꼭 필요한 경우가 아니면 대화와 취식도 이뤄지지 않는다"며 "방역패스 확대는 현장 상황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적용한 탁상행정이다"고 하소연했다.
방역패스가 스터디카페와 독서실로 확대된 지 2주째, 현장에선 감염위험도가 낮음에도 적용된 것을 두고 현실을 반영하지 못한 지침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이달 초 정부는 유흥시설과 노래연습장 등 기존 5개 시설에 적용됐던 방역패스를 스터디카페와 독서실 등으로 확대했다.
이를 두고 스터디카페와 독서실 운영자들은 고개를 저었다. 대부분 이용객이 홀로 이용하고, 시설 내에서 마스크를 벗는 환경도 아니라는 점에서 방역패스 적용은 납득하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형평성 문제도 제기된다. 식당과 카페 등은 필수 이용시설로 구분돼 미접종자 1인을 받을 수 있다. 반면 스터디카페와 독서실은 1인이라도 접종 완료자만 출입이 가능하다. 이용객을 카페로 빼앗긴다는 불만이 나온다.
대구에서 독서실 4곳을 운영하는 B(36) 씨는 "식당과 카페가 필수 이용시설이라는 논리로 미접종자 1인을 받는다면 독서실도 공부하는 이들에겐 필요한 시설이기 때문에 같은 지침이 적용돼야 한다"면서 "미접종 고시생들이 대거 이탈하면서 환불 금액만 약 300만원에 달한다. 정부의 모호한 기준으로 손님을 빼앗기는 등 손해만 보고 있다"고 말했다.
이들 시설을 이용하던 미접종자의 불만은 하늘을 찌르고 있다. 접종하지 않을 시 학습권을 침해받는다는 것이다.
영남대 재학생 C(24) 씨는 "백신 안전성 문제로 접종하지 않았는데, 지난달까지 이용하던 스터디카페를 갈 수 없게 됐다. 학교와 집 말고는 마땅히 공부할 곳이 없다"며 "'위험부담을 안고 접종하던지', '공부에 지장을 받던지' 선택하라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대구 달서구에서 무인 스터디 카페를 운영하는 D(31) 씨는 "방역패스가 확대되면서 직원을 고용해야 할지 의문이다. 24시간 인력을 쓰게 되면 인건비도 상당한데, 매출이 감소한 상황에 다른 방법이 있는지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