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환경부 "낙동강 물 문제 합의, 가장 큰 성과"

2022년 환경부 업무계획 발표
"30년 갈등 해소 위한 '낙동강 맑은 물 공급 방안' 차질 없이 이행"

한정애 환경부 장관이 11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출입기자단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환경부 제공
한정애 환경부 장관이 11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출입기자단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환경부 제공

환경부는 11일 발표한 '2022년 환경부 업무계획'에서 ▷통합물관리 성과 확산 ▷탄소중립 본격 이행 ▷포용적 환경서비스 확대 등 3대 핵심과제, 6개 세부과제를 제시했다.

환경부는 "수질·수량 통합물관리 체계를 구축해 30년 묵은 난제였던 낙동강 먹는 물 갈등 해소를 위한 합의를 도출했다"고 밝혔다.

환경부는 대구경북, 부산경남의 취수원 다변화 및 본류 수질 개선을 위한 예비타당성조사를 올해 상반기 완료하고, 하반기부터 기본계획을 수립할 방침이다.

앞서 낙동강유역물관리위원회는 지난해 6월 대구의 해평취수장 공동이용 등 취수원 다변화 대책을 골자로 한 '낙동강 통합물관리 방안'을 심의·의결했다.

의결에 따라 정부는 오는 2028년까지 해평취수원 공동이용 등 낙동강 취수원을 다변화하기로 했다.

아울러 환경부는 취·정수부터 급수까지 전 과정에 걸쳐 수질·수량을 실시간 관리하고 지역 간 요금·품질 격차 해소를 위해 수도사업 통합도 추진한다.

이와 관련 한정애 환경부 장관은 이날 업무계획 브리핑에서 "과연 해결이 될 수 있을지 생각했던 30년 묵은 낙동강 물 문제도 합의를 도출했다"면서 "통합물관리 일원화 출범 이후 가장 중요한 성과를 거둔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 장관은 지난해 7월 '낙동강 취수원다변화방안 구미지역 합동 설명회'에 참석해 "낙동강 취수원 다변화로 주민 피해는 없을 것"이라며 취수원 다변화 사업은 주민 동의 하에 추진하고 정책 추진 과정에서 지역 주민과 충분히 소통할 예정이라고 밝힌 바 있다.

한 장관은 최근 유럽연합(EU)이 녹색분류체계(택소노미) 초안에 원자력발전을 포함한 것과 관련해서는 EU의 최종안을 보고 비슷한 조건으로 원전을 포함할 수 있을지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