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오미크론 변이종 확산, 방역 패러다임 바뀌어야

코로나19가 국내에서 발발한 지 3년째가 됐지만 팬데믹은 종식될 기미가 없다. 델타 변이 바이러스의 위세 때문에 단계적 일상 회복이 중단돼 국민 피해와 불편이 임계점을 맞은 상황에서 오미크론 변이종의 국내 확산이 본격화할 조짐마저 보이고 있다. 전파력이 델타 변이종보다 2~3배 높은 오미크론 변이종이 국내에 광범위하게 확산되는 것은 시간문제다. 내달 초에 오미크론 변이종이 국내 우세종이 될 것이라고 내다보는 전문가들이 다수다.

1월 첫 주 코로나19 일평균 확진자 수가 3천600명대로 그 전주보다 22% 줄어들고 위중증 환자 수의 감소세도 완연한 것은 고무적이다. 백신 3차 접종 실시와 강도 높은 영업 및 집합 제한, 백신패스 효과가 함께 작용한 덕분이다. 대신에 오미크론 변이종 확산이 새로운 변수로 떠오르고 있다. 10일 현재 오미크론 변이종 확진자 비중이 전체 확진자의 12%를 넘어섰고 특히 대구경북은 이 비율이 22.6%나 된다.

집합 제한이나 방역패스, 백신 접종은 말할 것도 없고 봉쇄 등 그 어떤 규제를 하더라도 오미크론 확산을 막지 못할 공산이 매우 크다. 해외 사례가 이를 증명한다. 오미크론 변이종이 우세종이 된 영국의 경우 격리자가 100만 명을 넘어서면서 사회 곳곳이 마비되고 있다. 연일 사상 최고치의 확진자가 나오는데도 유럽과 미국 등이 어쩔 수 없이 '위드 코로나'로 가고 있는 것은 이런 현실을 반영한다.

오미크론 우세종 상황에서는 추적, 격리, 집합 제한 같은 기존의 방역 수단은 비용만 클 뿐 효과가 제한적이다. 그나마 희망적인 것은 오미크론 변이종의 치명률과 위중증률이 델타 변이종보다 많이 낮다는 점이다. 오미크론이 우세종이 되는 것을 상정한 방역 및 의료 체계의 재정비가 필요하다. 집합 제한 및 백신패스를 완화하고 단계적 일상 회복을 재개하되 위중증 환자 집중 관리 등으로 방역 패러다임을 손질해야 한다. 지금은 오미크론 변이종에 대비해야 할 골든타임이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