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철우 경상북도지사는 13일 "대한민국이 소득 5만불 시대를 열기 위해서는 중앙의 권력과 자본을 지방으로 나눠 지방과 중앙이 함께 '윈윈'할 수 있는 체계를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도지사는 이날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제1회 중앙지방협력회의에서 이같이 말했다. '제2국무회의'로 불리는 중앙지방협력회의는 지난해 1월 12일 지방자치법이 전면 개정된 뒤 이날 첫 출범을 알렸다.
회의는 문재인 대통령이 주재했고 17개 시·도지사, 지방 4대 협의체(시도지사협의회, 시도의회의장협의회, 시장군수구청장협의회, 시군구의회의장협의회) 회장, 김부겸 국무총리, 기획재정부 등 10개 부처 장·차관이 참여했다.
이 도지사는 국회의원 시절 대표 발의한 법률안이 10년 만에 현실화됐고 첫 협력회의가 열린 점을 높게 평가하고 광역 단체 간 행정통합을 처음 시도한 경험을 나눴다.
그는 "지방에 권한을 대폭 이양하고 500만 이상의 경제권을 만들어 지방이 경쟁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대구경북 행정통합도 이런 차원에서 시작된 것이다. 광역단체 간 행정통합의 법적 기반과 로드맵을 구체화하는 데 힘을 합치자"고 제안했다.
이와 함께 자치분권 성과 사례를 소개하며 510만 시도민 힘으로 이뤄낸 '신공항 이전지 결정', 민선7기 들어 단일 정책 사업으로 최대 1조6천억원 투자유치 성과를 낸 '경북 배터리 리사이클링 규제자유특구' 사례를 소개해 주목을 끌었다.
이철우 도지사는 "중앙지방협력회의는 지방이 국정 운영 파트너로 참여하는 첫 단추를 끼운 것"이라며 "지방자치 30년 역량을 믿고 더 과감한 권한 이양과 재정의 포괄적 배분으로 국가 성장의 판을 바꿀 대전환의 기회로 삼아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 도지사는 국회의원 시절인 2012년 10월 제19대 국회에서 '중앙지방협력회의 설치에 관한 법률안'을 대표 발의한 바 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