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오후 9시쯤 대구 중구 종로의 한 술집. 손님들이 계산하고 떠난 이곳엔 주인 A(52) 씨만 덩그러니 자리를 지키고 있었다. A씨는 이틀 전 정부가 발표한 거리두기 연장 소식에 허탈감을 감추지 못했다.
A씨는 "오후 8시부터 단골 손님들이 몰리기 시작한다. 오후 9시 영업시간 제한으로 사실상 1시간 장사밖에 할 수 없어 단골 발길까지 끊기고 있다"며 "확진자 수가 감소하는 걸 보고 내심 자정까지 영업시간이 늘겠다고 기대헀는데, 상실감만 맛보고 있다"고 하소연했다.
정부가 영업시간 제한 조치를 한 차례 더 연장하자 현장에선 볼멘소리가 쏟아지고 있다. 방역지표가 다소 호전되고 있는데 반해, 방역 강화 조치에는 큰 변화가 없어 희생만 강요당하고 있다는 것이다.
지난 14일 정부는 17일부터 내달 6일까지 3주간 식당·카페 등 오후 9시 영업시간 제한 지침을 유지했다. 사적모임 인원만 4인에서 6인으로 완화했다.
영업시간 제한을 받는 자영업자들은 이번 거리두기 조정을 두고 크게 아쉬워하는 모습이다. 지난달 18일 강화된 거리두기를 기점으로 확진자 수가 크게 줄었음에도 방역지침은 완화되지 않아서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지난달 12일부터 이달 8일까지 일평균 확진자는 6천866명→6천101명 → 4천645명 → 3천507명으로 감소세를 보였다.
중구에서 카페를 운영하는 B(38) 씨는 "방역지표가 안정세를 보이는 것은 자영업자들이 정부의 강도 높은 방역 지침을 잘 준수했기 때문"이라며 "영업시간 제한 연장은 장사하는 사람들이 한 번 더 희생하라는 것으로밖에 해석이 안된다"고 말했다.
자영업자에게 지원되는 정부의 방역지원금을 두고도 고개를 젓는 분위기였다. 거리두기 지침으로 적게는 수천만원부터 수억원까지의 손해를 봤는데, 정부의 지원금으로는 손실을 메울 수 없다는 지적이다.
앞서 지난달 정부는 방역조치 강화로 피해를 본 자영업자들에게 방역지원금 100만원을 지급한 데 이어, 이번에는 300만원을 추가 지원한다고 밝혔다.
수성구에서 포차를 운영하는 C(29) 씨는 "근본적인 해결책은 한 번씩 돈을 지급해주는 게 아니라 최소한의 영업을 할 수 있는 시간을 보장받는 것"이라고 말했다.
방역당국은 확진자 수를 비롯한 방역지표가 다소 안정되고 있지만,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 확산으로 거리두기 연장이 불가피했다는 입장이다.
중앙사고수습본부 관계자는 "1월 말에서 2월 초가 되면 오미크론 변이가 국내 우세종이 될 가능성이 높다. 갑작스럽게 방역 지침을 완화하면 지난 11월처럼 확진자가 폭증하고 병상 가동률이 악화될 수 있다. 설 연휴도 앞둬 영업시간 제한 완화는 보류할 수밖에 없었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