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경북도, 2050 탄소 없는 사회로 대전환 시동

올해 탄소 중립 위한 원년의 해로 삼아 각종 사업 추진
환경 분야 4대 과제 중점 추진할 방침

경상북도가 정부의 탄소 중립 시나리오, 국가온실가스 감축 목표 등에 발맞춰 '2050 탄소 없는 경북'을 위해 대전환을 시도한다.

탄소 중립 관련 신산업을 발굴하고 일자리를 창출하는 것은 물론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장기 전략도 구축할 작정이다.

27일 경북도에 따르면 탄소 없는 경북을 위한 핵심 과제는 ▷탄소 중립 대응 ▷온실가스 감축 ▷기후변화 적응 ▷도민 참여 프로그램 등 4가지다.

탄소 중립 대응 분야에서는 우선 탄소 중립을 위한 지방정부 실천연대 참여로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조례 제정으로 제도적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또한 탄소 중립 지원센터를 지정, 실행력을 높일 방침이다.

온실가스 감축 분야에서는 시군의 각종 환경기초시설을 대상으로 탄소 배출 제로를 달성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본격 운영한다. 공공기관 소유 또는 임차 건물, 업무용 차량을 대상으로 온실가스·에너지 목표 관리제도 시행할 예정이다.

아울러 전기·수소 자동차의 보급 확대를 위해 충전소 구축, 노후 경유차 조기 폐차, 매연저감장치 부착 사업 등도 한다.

기후적응 분야에서는 먼저 제3차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 마련을 하고 스마트 그린도시 사업, 폭염·한파 취약 계층 대상 지원 사업 등을 해나간다.

끝으로 도민 참여 확대 분야에서는 도민의 기후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해 '탄소 포인트제'를 운영,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온실가스 진단·컨설팅, 기후변화 교육센터 운영 등을 할 방침이다.

예를 들어 친환경 명절 보내기, 기후변화주간 운영, 차 없는 날, 쿨·온맵시 입기 등 실천 운동을 전개한다.

최영숙 경북도 환경산림자원국장은 "전세계적인 기후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탄소 배출을 줄이는 '탄소 중립'이 반드시 이행돼야 한다"면서 "경북도, 지자체 등은 실질적 이행을 위한 중심 역할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올해는 2050 탄소 중립을 본격 이행하는 매우 중요한 한 해가 될 것"이라며 "경북 지역에 탄소 중립 이행 기반을 확산할 수 있도록 경북도가 앞장서겠다"고 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