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진단키트 부족 땐 어떡하나"…학교는 아직도 명확한 기준 없어

교육부 설 연휴 후 새학기 학사운영 계획 발표, 대구시교육청도 이에 따라 지침 마련
신속항원검사 키트 물량 확보 어떻게 할지, 안정적인 확보 관건
교내 확진자 발생 시 신속항원검사 대상 범위 어떻게 정해질지도 중요

27일 오전 부산 남구 무지개유치원에서 한복을 입은 원생들이 선생님으로부터 신속항원검사키트(자가진단키트)를 지급받은 뒤 설명을 듣고 있다. 연합뉴스
27일 오전 부산 남구 무지개유치원에서 한복을 입은 원생들이 선생님으로부터 신속항원검사키트(자가진단키트)를 지급받은 뒤 설명을 듣고 있다. 연합뉴스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 확산에 교육 당국이 학교에도 신속항원검사를 도입한다고 밝혔지만, 대구시교육청에선 이에 대한 준비가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설 연휴 이후 교육부 지침이 내려올 때까지 기다리는 탓에 검사 키트 확보 방법이나 구체적인 검사 범위 등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없는 상황이다.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27일 학교일상회복지원단 회의에서 "3월 개학 준비를 위해 보건소 중심의 유전자증폭(PCR) 검사 이외에도 신속항원검사 등을 추가적으로 활용하는 학교검사체계를 추진 중"이라며 "2월 방학 중에 등교가 이뤄지는 기숙학교에 대해선 입소 전후에 자가진단키트를 통해 신속항원검사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교육부는 교내 확진자 발생 시 검사 범위를 조정하는 방안 등에 대해 질병관리청과 논의를 거쳐 설 연휴 직후 새학기 학사운영 계획을 발표할 예정이다.

신속항원검사 도입 등 학교 검사체계의 대전환이 얼마 남지 않은 가운데, 대구시교육청은 설 연휴 이후 교육부 지침이 내려올 때까지 우선 기다린다는 입장이다. 현재로선 시교육청 차원에서 신속항원검사 키트의 확보 방법과 교내 확진자 발생 시 검사 범위 등에 대한 계획은 없다.

무엇보다 검사 키트를 안정적으로 충분히 공급할 수 있는 지가 관건이다. 시교육청은 교육부가 키트 물량을 보내주거나, 예산 형태로 키트 구입비가 지원될 것으로 보고 있다.

문제는 예산으로 주어졌을 때 오미크론 대유행으로 키트 품귀 현상이 발생하면 시교육청 차원에서 물량 보급 경로를 개척하기 어려울 수 있다는 점이다. 이에 2020년 마스크 품귀 때처럼 조달청을 통해 시교육청이 검사 키트를 구매할 수 있도록 교육부가 연계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어디서 어떻게 신속항원검사를 진행할 것인지, 검사 대상의 범위를 같은 반이나 학년으로 할지 등도 정해지지 않았다. 지금까지는 통상 확진자가 나오면 해당 보건소에서 검사 범위를 판단하고, 이들을 대상으로 학교 별도 공간에서 PCR검사를 진행했다.

아울러 신속항원검사는 스스로 콧물이나 가래 등을 채취해 키트에 넣어서 확진 여부를 30분 내로 진단하는 식으로 이뤄지는데, 초등학교 저학년의 경우 검사를 위해선 별도의 지도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오미크론 대유행으로 보건소 업무에 과부하가 올 경우, 학교에서 자체적으로 이러한 검사를 담당해야 할 지 모른다는 우려가 학교 현장에서 나오고 있다.

한 교육계 관계자는 "만약 학교 내에서 보건교사나 담임교사가 검사 업무를 담당하다가 학생의 몸에 코피 등의 문제가 생기면 학부모 민원이 폭발할 것"이라며 "책임 소재때문에 교사들 사이에서도 반발이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코로나 초기엔 학교에서 확진자가 나오면 전교생을 대상으로 검사를 했다. 최근에는 확진 학생과 같은 학년이나 한 한급 정도로 정도로 검사 범위가 좁혀졌다"며 "오미크론 시대엔 검사 대상 범위를 더 좁혀 핀셋 검사를 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