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시청소년육성위원회, 올해 107개 세부과제 2천319억원 예산 심의·의결

청소년 참여 및 권리증진, 청소년 주도의 활동 활성화, 청소년 자립 및 보호지원 강화, 청소년정책 추진체계 혁신 등 4대 정책 목표…지난해 대비 155억원 증액

대구시는 27일(목) 시청별관 대회의실에서
대구시는 27일(목) 시청별관 대회의실에서 '대구광역시청소년육성위원회'를 개최하고 2022년도 대구광역시청소년정책 시행계획을 심의·의결 했다. 대구시 제공

대구시는 27일(목) 시청별관 대회의실에서 '대구광역시청소년육성위원회'를 개최하고 2022년도 대구광역시청소년정책 시행계획을 심의·의결 했다.

시는 올해 청소년 정책 목표를 ▷청소년 참여 및 권리증진 ▷청소년 주도의 활동 활성화 ▷청소년 자립 및 보호지원 강화 ▷청소년정책 추진체계 혁신을 선정하고, 12개 중점과제와 107개 세부과제를 추진하기 위해 모두 2천319억원의 예산을 편성했다.

시의 주요정책으로는 ▶우리마을 교육나눔사업 확대 ▶'청소년 활력 UP, 희망 UP' 활동프로그램 지원 ▶국립청소년진로직업체험수련원 (도시계획변경 및 설계용역) 추진 ▶청소년지도자 처우개선 ▶청소년 건강개선 및 온라인 성상담 재널구축 ▶학교 밖 청소년 전용공간 조성 및진로박람회 등이 있다.

대구시교육청은 ▶보호관찰학생을 위한 보금자리 안착 프로젝트 ▶ 사랑의 고리 맺기(학생1명 멘토1명 정서적 지원) ▶ 학업중단 숙려제 협력네트워크강화(Wee클래스, Wee 센터,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 ▶학교부적응 학생들을 위한 특별교육이수기관 운영(20개) ▶위기학생 휴식공간 "친구랑" 24시간 Wee cafe 운영 ▶ 1% 학생참여예산제 등을 중점 추진할 계획이다.

한편 대구경찰청은 ▶코로나19 대응 온라인 학교폭력 예방교육 추진 ▶인과분석을 통한 선도·보호강화 ▶ "학교 및 가정밖 청소년" 발굴시스템 강화▶ 117신고센터 신고 활성화 등을 주요 정책으로 선정했다.

이날 회의에 참석한 위원들은 모두 핚교밖 위기 청소년 한사람도 안전망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대구시, 교육청, 경찰청, 유관단체 기관들간 정보공유가 중요하며 이를 위한 협의회를 정례화 할 필요가 있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조윤자 대구시 여성청소년교육국장은 "오늘 시행계획 빠짐없이 집행되고 소기의 성과를 거둘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고, 코로나 장기화로 청소년들의 정신건강 회복을 위해 참여기관과 적극 협력 하겠다"고 했다.

대구광역시청소년육성위원회는 청소년기본법 및 대구광역시 청소년육성 및 지원에 관한 조례에 따른 청소년정책 심의‧자문 기구이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