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업자 3명이 무너진 흙더미에 깔려 사망한 사건과 관련해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이 3일 삼표산업과 경영책임자를 엄중 처벌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노동계는 삼표산업의 경영진은 물론 삼표그룹 정도원 회장이 이번 사고에 대해 제대로 책임을 지고 중대재해처벌법 1호 처벌 대상이 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날 오후 1시 민주노총 관계자들은 삼표 양주사업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3명의 노동자가 차가운 시신으로 발견됐다"며 "삼표산업, 삼표 그룹의 실질적인 경영책임자를 엄중 처벌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삼표산업은 기업 규모에 걸맞지 않게 안전보건 관리는 후진적"이라며 그동안 발생했던 삼표 관련 사망 사고들을 열거한 뒤 "벌금 등 가벼운 처벌이 지금 기업 살인의 원인이 됐다"고 비판했다.
이날 사고 현장에서는 경찰·산업안전보건관리공단 등 관련 기관과 토목분야 전문가 등이 참석한 가운데 사고와 관련한 합동감식이 진행됐다.
민주노총은 기자회견에서 "토사 붕괴를 막는 안전장치, 안전관리자도 없어 원인이 명확하고 예견된 사고"라면서 "중대 재해기업 처벌법 적용을 앞두고 법정 공방이 잇따를 것인데 명백한 증거 앞에 또다시 범인을 놓치는 우를 범하지 않기를 촉구한다"고 주장했다.
과거 사업장에서 사망사고가 발생한 민주노총 삼표지부와 강원 본부도 이날 성명을 내고 "양주에서의 중대 재해사고는 예견된 사고"라면서 삼표그룹 최고경영자에 대한 엄벌을 촉구했다.
업계는 삼표산업의 이번 사고에 대해 고용노동부가 회사는 물론 계열사 등 그룹 전반에 걸쳐 과거 안전사고 예방 활동을 제대로 수립했는지 등을 들여다 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삼표산업은 지난해 6월에도 포천사업소에서 비산방지망을 설치하던 노동자가 위에서 떨어진 바위에 맞아 숨진 사고가 있었다.
노동계 관계자는 "삼표그룹은 삼표산업과 삼표시멘트, 삼표피앤씨 등 계열사 여러곳에서 수년째 산재가 빈번히 일어난 곳"이라며 "해당 회사의 지분구조를 들여다보면 결국 정도원 삼표그룹 회장이 정점에 있다"고 말했다. 이어 "회사의 지속적인 산재 발생은 정 회장이 그만큼 근로자의 생명에 대해서 고민을 하지 않는다는 증거"라고 덧붙였다.
삼표산업 지분은 삼표그룹 지주사 역할을 하는 주식회사 삼표가 98.25%를 소유하고 있으며 정도원 삼표그룹 회장은 주식회사 삼표 주식의 65.99%는 가지고 있다. 정 회장은 현대차 정의선 회장의 장인으로 알려져 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