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中 '한복 공정'에 서경덕 "한복 더 알려야" 황희 "외교적 항의 계획 아직…"

(왼쪽)4일 오후 중국 베이징 국립경기장에서 열린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회식에서 한복을 입은 한 공연자가 손을 흔들고 있다. (오른쪽)황희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같은날 오후 중국 베이징 국립경기장에서 열린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회식에 한복을 입고 참석해 있다. 연합뉴스
(왼쪽)4일 오후 중국 베이징 국립경기장에서 열린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회식에서 한복을 입은 한 공연자가 손을 흔들고 있다. (오른쪽)황희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같은날 오후 중국 베이징 국립경기장에서 열린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회식에 한복을 입고 참석해 있다. 연합뉴스

지난 4일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회식에서 한복을 입은 젊은 여성이 중국 소수민족 중 한 명으로 등장, 이에 대해 '문화 동북공정', 일명 '한복 공정'이라는 비판이 국민들은 물론 정치권에서도 여야 가리지 않고 나오고 있는 가운데, 독도 광고와 비빔밥 홍보 등 한국 홍보 전문가로 잘 알려져 있는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가 해법을 밝혔다.

▶서경덕 교수는 5일 오전 7시 46분쯤 자신의 페이스북에 "베이징 동계 올림픽 개막식때 우려했던 부분이 또 터지고 말았다. 중국 국기를 전달하는 과정에서 중국 사회 각계 대표, 56개 민족 대표 등이 참여한 '소시민들의 국기 전달'이라는 단계에서 한복을 입은 한 여성이 카메라에 포착된 것"이라고 문제가 된 장면을 설명했다.

그러면서 "아무리 중국의 소수민족인 조선족을 대표하기 위해 등장시켰다고 하더라도, 이미 너무 많은 '한복공정'을 지금까지 펼쳐온 것이 사실이다. 또한 중국 최대 포털사이트인 바이두 백과사전에서는 '한복은 한푸에서 기원했다'는 잘못된 사실을 기록하고 있고, '조선족 복식은 중국 조선족의 전통 민속으로, 중국 국가급 무형 문화재 중 하나다'라고 소개하고 있다. 특히 중화사상에 쩌든 많은 누리꾼들은 각종 SNS를 통해 '한복을 훔쳐갔다'는 어이없는 왜곡을 하고 있으며, 심지어 '갓'까지 자신의 것이라는 억지주장을 펼치고 있는 중"이라고 이번뿐만 아니라 중국이 지속적으로 한복 관련 역사적 사실을 왜곡해왔다고 지적했다.

이어 서경덕 교수는 "이에 우리는 분노만 할 것이 아니라 '한복은 한국의 전통 의상'이라는 진실을 전 세계에 더 널리 알려야만 한다. 중국의 문화 동북공정에 당당히 맞서 무엇이 잘못됐는지를 정확히 짚어주고, 세계인들에게 우리의 전통문화를 더 널리 소개할 수 있는 좋은 기회로 삼아야만 할 것이다. 왜냐하면 우리의 역사와 문화는 우리 스스로가 지켜나가야만 하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서경덕 교수는 일본의 지속적인 독도 영유권 주장에 대응하고자 2005년 미국 뉴욕타임스 독도 광고 게재를 주도하는 등 주로 대중매체를 이용한 한국 제대로 알리기에 힘써왔다. 이에 한복과 관련해서도 홍보 작업에 나설지 관심이 향한다.

지난해 추석 때 중국의 문화 동북공정 중 하나인 한복 공정에 대응, 명절 한복 입기 캠페인을 제안했던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 서경덕 교수 인스타그램
지난해 추석 때 중국의 문화 동북공정 중 하나인 한복 공정에 대응, 명절 한복 입기 캠페인을 제안했던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 서경덕 교수 인스타그램

▶이번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회식에는 황희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공교롭게도 한복을 입고 참석한 모습이 언론 보도로 알려져 함께 눈길을 끌었다.

황희 장관도 홍보 취지로 한복인 붉은색 두루마기을 입고 참석했지만, 개회식 행사에 한복이 등장한 데 이어 비판의 소재가 돼 함께 주목 받은 것.(기사 맨 위 사진)

한복에 대한 문화 동북공정이라는 비판 여론을 두고 황희 장관은 개회식 다음날인 오늘(5일) 베이징 시내 메인 미디어센터에서 기자들에게 "중국 측에서는 조선족이 소수 민족 중 하나라고 한 건데, 양국 관계에 오해 소지가 생길 수 있다"고 입장을 밝혔다.

다만 외교적으로 공식 항의를 할 계획은 아직 없다고 덧붙였다. 황희 장관은 "양국에 오해 소지가 있는 부분은 중국 체육 장관 등 정부 관계자들을 만나 국내 여론 등을 언급할 필요는 있다고 본다"고 밝혔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