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의 '대구경북광역행정기획단'(이하 대경광역기획단) 설립(안)이 행정안전부로부터 승인을 받았다. 1년 안에 가시적 성과를 내야 한다는 조건부 승인이다. 우리가 이번 승인에 주목하는 것은 대경광역기획단이 대구와 경북의 초광역 협력을 이끌 특별지방자치단체 설립을 담당할 실무 기구라는 점 때문이다. 궁극적으로는 대구경북 행정통합 성사 여부를 가늠하는 시금석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관심을 갖지 않을 수 없다.
행안부 승인이라는 큰 관문을 통과함에 따라 대구시는 오는 8일 대구시의회 임시회를 통해 광역기획단 기구 설립 조례안을 통과시키고 기구 설립을 위한 조직 개편도 실시할 계획이다. 다음 달 10일 광역기획단을 공식 발족하겠다고 밝혔는데 대구시와 경북도의 부단체장이 공동 단장을 맡고 2개 과(果) 6개 팀 총 25명 정도의 인력을 구성할 방침이라고 한다. 밑그림은 그렸지만 넘어야 할 산과 과제들이 한둘이 아니다.
시 로드맵대로라면 새로운 형태의 조직인 대구경북 특별지자체와 대구경북 특별지방의회가 내년에 출범하게 된다. 대한민국 지방자치 역사에 가보지 않은 시도다. 특별지자체의 장(長)은 누가 맡을지, 특별지방의회는 어떻게 구성할지, 어떤 사무를 초광역 협력 대상으로 삼을지 등등 많은 것이 미정인 상태다. 특별지자체 운영에 대해 대구 및 경북 공직사회가 가장 많이 고민해야 하는 것은 두말할 나위가 없으며 지역사회의 관심 및 숙의도 반드시 필요하다.
이철우 경북도지사와 권영진 대구시장이 함께 의제를 제시했던 대구경북 행정통합은 지역사회 합의 미도출로 수면 아래로 내려갔지만 특별지자체 성공 여부에 따라 뜨거운 이슈로 다시 등장할 가능성이 크다. 특별지자체가 경제, 교통, 관광 등 초광역 사무에서 유의미한 성과를 거두어야만 행정통합도 당위성과 동력을 얻을 수 있다. 그러지 못한 채 특별지자체가 옥상옥이 되거나 위인설관식 운영에 그친다면 행정통합에 대한 회의론은 커질 수밖에 없을 것이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어대명' 굳힐까, 발목 잡힐까…5월 1일 이재명 '운명의 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