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비수도권 제조업 순증가률 3년 연속 마이너스…수도권보다 심각

수도권과 비수도권 제조업 일자리 순증가율. 대한상의 제공
수도권과 비수도권 제조업 일자리 순증가율. 대한상의 제공

최근 10년간 제조업 일자리 순증가율(창출률과 소멸률의 차이)이 둔화되고 있는 가운데 비수도권이 더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창출률은 사업체 확장이나 창업으로 일자리가 새로 늘어난 비율을, 소멸률은 사업 축소나 폐업에 따라 기존 일자리가 없어진 비율을 말한다.

대한상공회의소 지속성장이니셔티브(SGI)는 10일 펴낸 '지역 일자리 현황 및 향후 정책과제 보고서'에서 "제조업의 일자리 순증가율이 2010~2019년 하락 추세를 나타낸 가운데 수도권보다 비수도권에서 고용 부진이 심각한 모습을 보였다"고 밝혔다.

비수도권 제조업 순증가율은 2014년(3.8%), 2015년(1.6%) 감소세를 보이다가, 2016∼2018년 3년 연속 마이너스를 나타냈다. 비수도권의 고용 창출률은 2014년 19.4%에서 2016년 13.9%로 하락한 뒤 3년 연속 13%대에 머물렀다. 수도권 순증가율은 2015년(2.9%), 2016년(0.7%) 등 줄어들다가, 2019년엔 마이너스(-0.2%)로 전환됐고 같은 해 고용 창출률은 15%대로 떨어졌다.

수도권과 비수도권 모두 제조업 일자리 순증가률이 하락했지만, 비수도권이 그 정도가 더 큰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신생 기업은 일자리 창출의 역할을 하는데 비수도권의 경우 인프라가 수도권보다 상대적으로 열악한 탓에 창업이 잘 이뤄지지 않아 고용이 더 저조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SGI는 이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고용시장 개선과 지역 균형 발전을 이루려면 ▷외국인 직접투자(FDI) 유치 확대와 제조업 리쇼어링(국내 복귀) 정책 강화 등 지원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