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4차 접종 강제 안 한다…정부 방역패스 연계도 부정적

면역저하·요양병원 종사자 등 소수 고위험군 중심 접종 계획
당국, 확진자 동선 추적 없앤 데다 청년층 백신 회의론 영향도 한몫

노바백스 백신 접종이 시작된 14일 대구 북구 복현연합내과의원에서 한 시민이 노바백스 백신을 접종 받고 있다. 안성완 기자 asw0727@imaeil.com
노바백스 백신 접종이 시작된 14일 대구 북구 복현연합내과의원에서 한 시민이 노바백스 백신을 접종 받고 있다. 안성완 기자 asw0727@imaeil.com

정부가 코로나19 백신 4차 접종 계획을 발표하자 백신 회의론이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역학조사 간소화로 확진자 동선 추적이 사라지면서 방역패스 자체가 유명무실해진 데다, 오미크론 변이에 따른 돌파 감염도 잇따르고 있는 영향이다.

권덕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1차장은 14일 "60세 이상 고령층의 확진이 다시 증가함에 따라 면역저하자, 요양병원·시설 입소자에 대한 4차 접종을 계획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전국적으로 4차 접종은커녕 3차 접종률에도 브레이크가 걸렸다. 14일 대구시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대구의 3차 접종률(대구시 전체 인구 대비 접종률)은 51.4%로 전국 평균(57.3%)보다 6%포인트 가까이 낮다. 3차 접종 대상 연령인 18세 이상의 인구 대비 3차 접종률도 대구가 59.3%로 전국 평균(66.4%)보다 낮다.

방역 당국은 저조한 3차 접종률을 끌어올리기가 쉽지 않을 것으로 우려한다. 젊은 연령층을 중심으로 백신 회의론이 퍼지고 있기 때문이다.

대구시 관계자는 "정부가 이달 셀프 방역 대전환에 따라 확진자 동선 추적을 중단하면서 방역패스 무용론이 거세지고 있는 상황"이라며 "젊은 층 경우 감염 우려보다는 방역패스 때문에 접종을 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방역패스를 완화한다면 굳이 백신을 맞을 이유가 없다는 분위기가 만연해 있다"고 말했다.

오미크론 변이의 등장과 함께 기존 백신의 유효성을 둘러싼 혼란도 커졌다. 지역 곳곳에서 백신 2차 또는 3차 부스터샷까지 접종했는데도 무더기로 감염되는 사례가 잇따라 발생하면서 백신 회의론을 부추긴 것이다.

정부도 이를 의식해 면역저하자나 요양병원·시설 입원·입소·종사자가 아닌 일반 국민에 대한 백신 4차 접종은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소수 고위험군을 중심으로 4차 접종을 진행하는 만큼 '방역패스'에 4차 접종을 연계하는 일도 없을 것이라고 했다.

정은경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장은 14일 브리핑에서 면역저하자와 요양병원·시설 생활자 등 180만 명에 대한 4차 접종 계획을 밝히면서 "고위험군의 중증·사망을 예방하기 위한 목적"이라며 "중증·사망 위험도가 높지 않은 집단에 대해서는 4차 접종을 결정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