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재택치료자 50만 명 육박, 사망자 속출에 국민은 불안하다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21일 0시 기준 코로나19 누적 확진자가 205만8천184명이 됐다. 이 추세대로라면 주 중반 확진자가 폭증해 3월 초엔 누적 확진자가 300만 명에 도달할 전망이다. 재택치료 대상자는 46만9천384명으로 50만 명에 육박하는 등 폭증세다.

재택치료자 중 사망 사례가 속출하면서 국민 불안이 확산하고 있다. 확진 후 재택치료를 받던 7개월 영아가 발작 증세를 일으켰지만 인근 지역 내 병상을 확보하지 못해 뒤늦은 병원 이송 중 숨졌다. 50대 남성이 확진 후 재택치료 배정도 받기 전에 홀로 숨졌고, 70대 남성이 확진 후 재택치료를 받던 중 사망했다. 무증상·경증으로 재택치료 판정을 받았다가 상태가 급변해 사망하는 경우가 잇따르고 있다.

정부는 이달 10일부터 코로나 재택치료 시스템을 60세 이상 등 집중관리군 중심으로 전환했다. 이들에게만 건강 모니터링과 치료 키트를 제공하고, 경증·무증상 확진자 등 일반 재택치료자에 대해선 스스로에게 건강관리를 맡겼다. 결국 정부의 관리망에서 벗어난 일반관리군 환자들이 응급 상황 발생 시 의료기관 연계 등 적절한 조치를 받지 못하면서 사망하는 일이 빈발하고 있다. '셀프 치료'를 해야 하는 일반관리군 중 상태가 급변해 사망으로까지 이어지는 경우가 속출하면서 "재택치료가 아니라 재택 방치"라는 지적까지 나온다.

정부가 충분한 준비 없이 방역 체계부터 바꾸다 보니 곳곳이 허점투성이다. 이런 와중에 전해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2차장은 "오미크론 변이의 치명률은 약 0.18% 수준"이라고 했다. '내가 그 0.18%에 속할 수도 있다'며 불안에 떠는 국민의 마음을 헤아리지 못한 발언이다. 재택치료 체계가 한계점을 노출하면서 확진자의 80%가 넘는 재택치료자들은 불안하기 짝이 없다. 셀프 재택치료가 일반관리군 환자 방치로 더 이상 이어져선 안 된다. 정부는 방역 인력의 신속한 재배치 등 효율적인 인력 활용으로 재택치료 역량을 늘리고 방역 사각지대를 메워야 할 것이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