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상주·울진 이어 문경서도 ASF 확진 야생멧돼지 발견

도내 ASF 확산세…경북도, 추가 폐사체 수색하는 등 대응 나서

이달 9일 오후 경북 상주시 화남면 평온리 야산에서 상주시청 관계자들이 아프리카돼지열병(ASF)에 감염된 야생멧돼지 폐사체가 발견된 지점을 중심으로 야생멧돼지 추가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그물망 설치 및 멧돼지 기피제 살포작업을 하고 있다. 김영진 기자 kyjmaeil@imaeil.com
이달 9일 오후 경북 상주시 화남면 평온리 야산에서 상주시청 관계자들이 아프리카돼지열병(ASF)에 감염된 야생멧돼지 폐사체가 발견된 지점을 중심으로 야생멧돼지 추가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그물망 설치 및 멧돼지 기피제 살포작업을 하고 있다. 김영진 기자 kyjmaeil@imaeil.com

경북지역 내 아프리카돼지열병(ASF) 확산세가 이어지고 있다. 상주, 울진에 이어 최근 문경에서 발견된 야생멧돼지 폐사체에서도 ASF 양성 판성이 났다.

23일 경북도에 따르면 월악산 국립공원 경계로부터 남쪽으로 0.5㎞ 밖에 위치한 문경시 문경읍 관음리에서 지난 22일 야생멧돼지 폐사체가 발견됐다. 야생멧돼지 ASF 방역 대책의 하나로 활동 중이던 문경시 소속 피해방지단이 발견한 폐사체에 대해 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원이 두 차례 정밀 검사한 결과 양성으로 확인됐다.

폐사체 발견 지점은 지난달 28일 발생한 충북 충주시 수안보면 미륵리 산9번지에서 약 4.5㎞ 동쪽으로 떨어진 곳이기도 하다.

경북도와 문경시는 폐사체 발견 지점 주변에 긴급 차단 울타리와 경광등, 기피제를 설치해 야생멧돼지 접근을 막았다. 또한 추가로 있을지 모르는 폐사체 수색을 벌이고 있다.

경북에서는 이달 8일 상주 화남면 평온리 산32-2번지에서 발견된 야생멧돼지 폐사체가 ASF에 감염된 것으로 확인됐다. 도내 첫 사례였다. 이후 10일 울진 북면에서도 감염 개체가 발견됐고 이번에 문경에서도 양성 개체가 1마리 추가돼 누적 26마리(상주 23, 울진 2, 문경 1)가 양성 판정을 받았다.

앞서 경북도는 상주에서 ASF 바이러스가 확인된 뒤 긴급히 재난관리기금을 집행, 남하 방지 울타리 설치 작업을 완료했다.

최영숙 경북도 환경산림자원국장은 "야생멧돼지 ASF가 소백산, 월악산, 속리산 등 백두대간을 중심으로 전파되고 있다"면서 "영주, 예천 등 인접 지역의 추가 발생 위험도 있어 경계를 강화하고 있다"고 했다. 아울러 "야생멧돼지 폐사체를 발견하면 신속히 관할 시군에 신고해주길 바란다"고 요청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