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의 미분양 주택이 급증하고, 주택 매매량이 격감하는 등 거래절벽이 심화하고 있다. 아울러 경북의 미분양 주택 규모는 전국 최대로 집계됐다.
지난 28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1월 전국 주택 미분양 물량은 2만1천727가구로 전월(1만7천710가구)보다 22.7% 늘었다. 수도권 미분양은 1천325가구로 전월(1천509가구)보다 12.2% 줄었지만 지방에서 2만402가구가 미분양돼 전월(1만6천201가구)보다 25.9% 증가했다.
대구는 전월 대비 86.0%(1천701가구) 늘어난 3천678가구로 전국 광역시 중 유일하게 증가했다. 대구는 미분양 규모가 경북에 이어 전국 시·도 중 2위가 됐다. 경북은 미분양 물량이 5천227가구로 전국에서 가장 많았다.
대구는 강력한 대출 규제와 금리 인상, 과도한 공급 등 여파로 주택 매매 거래량이 급감하면서 거래절벽 현상이 심화하는 이중·삼중고를 겪고 있다. 1월 기준 매매량은 1천237건으로 전월보다 26.2% 줄었다. 지방광역시 평균 -23.9%보다 훨씬 심하다.
거래절벽이 계속되는데 인허가는 급증하는 기현상도 벌어지고 있다. 대구의 1월 인허가는 3천676건으로 1년 전 같은 기간 308건에 비해 약 12배 급증했다. 10년 평균 인허가 건수를 비교해도 3배 늘었다. 이에 대해 대구시 관계자는 "지난해 6월부터 상업지역 내 주상복합 용적률 제한 조치를 시행하면서 유예기간을 6개월 뒀다. 그 기간 안에 인허가 신청이 갑자기 많이 들어왔기 때문"이라고 했다.
수도권 중심의 주택 정책이 대구의 미분양 현상을 심화시켰다는 게 대구시의 인식이다. 수도권과 달리 공급 물량이 충분한 데도 수도권과 같은 대출 규제를 적용해 거래 감소, 미분양 물량 증가 등 주택 시장이 급속히 경직됐다는 것이다.
시가 제시한 최근 10년간 분양 현황에 따르면 2014년(2만3천832가구) 이후 2017년(4천824가구)까지 꾸준히 분양 물량이 줄다가 2018년(2만951가구)을 기점으로 물량이 대폭 늘어나는 흐름을 보였다. 시는 이처럼 물량이 증가하는 시기와 정부의 강화된 부동산 규제 정책이 맞물리면서 주택 시장이 위축됐다고 분석했다.
권오환 대구시 도시재창조국장은 "조정대상지역 해제와 미분양이 심한 일부 지역을 미분양관리지역으로 지정해줄 것을 정부에 요청할 계획"이라며 "미분양 문제가 더 심각해질 경우 대구도시공사 등이 민간주택을 매입해 공공임대주택 등으로 활용하는 '매입임대주택사업'을 확대 적용하는 방법도 고민하겠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