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우리나라 성인이 한 달에 술을 마시는 횟수는 줄고, 소주를 마신 비중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홈술'과 저도주 열풍으로 와인의 소비는 늘어났다.
6일 한국농수산식품(aT)이 내놓은 '2021년 주류시장 트렌드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7월 20~30일 전국 19~59세 남녀 중 월 1회 이상 술을 마신 2천 명을 대상으로 한 주류 소비 설문 결과 이들이 한 달에 술을 마신 날은 평균 8.5일로, 전년(9.0일)보다 감소했다.
사회적 거리두기 지속에 따른 회식 감소 여파로 소주의 소비는 줄었다. 한 달에 마신 주종의 평균 비중을 보면 맥주 비중은 0.8%포인트(p) 늘어나 42.2%로 가장 높았다. 소주를 마신 비중은 7.3%p 줄어들어 25.4%로 두 번째 순으로 나타났다. 이어 전통주(20.0%), 리큐르(혼합주·5.1%), 수입 와인(3.4%), 수입 증류주(3.1%) 등의 순이었다.
실제로 술을 마셨을 때 만족하는 정도를 5점 척도로 평가하게 했을 때 4점 이상을 받은 비율(만족도) 역시 맥주가 77.0%로 가장 높았다. 이어 전통주(70.8%), 수입 와인(69.2%), 리큐르(62.1%) 순이었으며 소주는 58.0%로 상대적으로 낮았다.
다만, 술을 마신 날의 평균 음주량은 7.0잔으로 2017년(6.9잔) 이후 가장 많았다. 일평균 음주량은 2018년 6.3잔까지 감소했다가 2019년에 6.9잔으로 늘었고, 2020년에는 6.7잔을 기록했다.
지난해 주류 수입액은 전년보다 26.6% 증가한 약 14억달러(약 1조7천억원)로 나타났다. 주종별로는 과실주(5억9천840만달러), 주정(3억1천150만달러), 맥주(2억2천310만달러), 위스키(1억7천500만달러) 등의 순이었다. 지난해 국산 주류 수출액은 2020년과 비슷한 3억2천만달러(약 3천888억원)로 집계됐다. 주종별 수출액은 소주(8천300만달러), 리큐르(8천120만달러), 맥주(5천998만달러), 주정(3천806만달러) 등의 순으로 많았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