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경북지역을 중심으로 대형산불이 잇따라 발생하면서 산림·소방당국의 역할 분담과 대응 체계에 이목이 집중된다.
통상 모든 화재는 소방당국 책임처럼 인식되지만 산불 진화는 산림청과 시군 등이 포함된 산림당국 몫이어서 유기적인 협업이 중요하다.
7일 산림·소방당국 등에 따르면 산림보호법상 산불 진화 책임은 산림청과 지방자치단체장에게 있다. 최초 신고가 119에 접수되더라도 진화 작업 착수는 산림청에 설치된 중앙산불방지대책본부 판단으로 대처가 이뤄진다.
소방당국은 소방기본법에 따라 산불에 대한 예방과 진압 등 지원 활동을 벌인다. 다만 산불이 확산하면 인접 주택 등 사유시설, 각종 국가기간시설 등 공공시설의 피해가 불가피하다.
이들 시설에 대한 진화가 소방당국 업무인 만큼 산불이 나면 소방인력도 자연스럽게 지원 활동에 나선다.
산불이 확산하면 중·소형 산불은 시장·군수를 책임자로 한 산불방지대책본부가 가동돼 대응하고 100만㎡ 이상 대형산불로 커지면 광역자치단체장 소관 대책본부가 꾸려진다. 만약 산불이 2개 이상 광역자치단체에 걸쳐 발생하면 산림청장이 총괄 지휘한다.
대책본부가 꾸려지면 산림청 산하 산림항공본부 헬기가 투입되고 군과 경찰, 소방서 등 유관기관과의 연계 대응도 이뤄진다.
산림당국은 산불 초기 단계에는 현장 자체인력을 투입하고 확산 정도에 따라 1~3단계 지원 출동 체계를 가동한다. 1단계에는 관할 기관 인력·장비 헬기 100%, 인접 기관 헬기 및 드론 50%를 동원하고 점차 확대해 3단계에는 광역 단위 가용헬기 100% 동원 등으로 진화에 나선다.
소방당국은 대형재난이나 그에 준하는 재난 등이 발생했을 때 단계별 동원·대응령을 발령해 전국 소방력을 집결, 현장 대응에 나선다.
이번 울진산불은 경북·강원에 걸쳐 발생해 산림청장이 지휘하고 산불 대응 3단계, 소방 동원령 2단계 등 조치로 산림·소방당국이 진화 작업을 벌이고 있다. 또한 국무총리를 위원장으로 한 중앙재난관리위원회는 울진·삼척 일대에 대해 재난사태, 특별재난지역 선포로 국가 차원의 대응을 벌이고 있다.
이 외 의용소방대, 인접 시군, 해병·육군 등 군인, 경북도청 공무원 등 수천 명의 인력이 동원돼 산불 진화를 위해 총력전을 벌이는 중이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