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출신 독립운동가 16명이 독립유공자로 추가 확정됐다.
경북도는 "국가보훈처가 지난 제103주년 3.1절을 맞이해 발표한 219명의 독립유공자 포상자 가운데 경북 출신 독립운동가 16명이 포함됐다"고 14일 밝혔다.
경북은 일제강점기에 독립운동이 가장 활발했던 지역이다. 이번에 독립 독립유공자로 16명이 서훈을 받으면서 경북의 독립유공자는 2천394명으로 늘었다. 이는 전국 1만7천285명의 13.9%에 해당, 전국에서 가장 많은 수치다.
새롭게 서훈을 받게 된 독립유공자 중 의병활동을 한 5명은 경주 출신 김순도(미상~1910, 건국훈장 애국장)·이훈구(1869~1947, 대통령표창), 청송 출신 남석구(1875~1911, 건국훈장 애국장), 영일 출신 정내의(1872~미상, 건국포장), 경산 출신 권병호(1885~미상, 대통령표창)이며 산남의진에서 활약한 인물이다.
산남의진(山南義陣)은 1906년 3월부터 1910년경까지 경북 영천, 청송, 영일 일대를 중심으로 활동한 의병부대를 말한다.
또 3.1운동에 참여한 6명은 성주 출신 김명준(1896~미상, 대통령표창)·김숙이(1899~미상, 대통령표창), 칠곡 출신 김팔봉(1900~미상, 대통령표창), 청송 출신 이육상(1900~미상, 대통령표창), 예천 출신 장기남(1905~1971, 대통령표창)·장세환(1901~1982, 대통령표창) 등이다.
이들 중 이육상은 봉화 내성공립보통학교 촉탁교사로서 학생들과 태극기 66매를 제작하고 내성장날 독립만세시위를 벌이는 활동을 하다 체포된 인물이다.
국내항일 4명은 안동 출신 남준섭(1906~1933, 건국훈장 애국장), 경산 출신 박재천(1920~1968, 건국훈장 애족장), 상주 출신 윤기석(1909~1991, 대통령표창), 청도 출신 이심동(1889~1964, 대통령표창) 등이다.
이 가운데 이심동은 국민당(뒤에 다물단) 서동일(1893~1965,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의 군자금 모집 계획에 협력해 여러 차례 군자금을 제공한 여성 독립운동가이다.
또 만주에서 독립운동을 벌인 경주 출신 이화석(1900~미상, 건국훈장 애족장)은 1919년 중국 봉천성에서 한족회 활동을 했으며 1920년 군자금을 모집하고 친일파 한인 처단을 시도하다가 체포돼 징역 1년을 받고 옥고를 치렀다.
박세은 경북도 사회복지과장은 "나라를 위해 희생한 독립운동가들을 찾아내고 그들을 존경하고 예우하는 사회적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도록 다양한 보훈선양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