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장·최다 수식어를 남기며 역대급 피해를 낸 울진 산불 위기를 활용, 산림 복구를 매개로 한 도약 기회로 만들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대규모 산림복구 사업에 생태와 경관, 경제, 탄소흡수, 내화 등 다양한 산림 기능을 더해 100년 미래를 설계해자는 구상이다.
15일 산림 당국의 산불 피해지 복구 매뉴얼을 보면 앞으로 피해 상황 조사를 거쳐 응급복구지와 항구복구 대상을 분류하는 작업이 이뤄진다. 토사 유출이나 산사태가 우려되는 응급복구지는 피해 후 곧바로 작업을 시작해 6월 장마가 본격화하기 전까지 복구 작업이 벌어진다.
응급복구지를 포함한 항구복구 대상지를 두고는 민·관·학 정밀합동조사를 거쳐 복구계획이 수립되고 ▷복구실행 ▷복구지 모니터링 ▷성공 시 사후관리 ▷불량 시 보완조림 등 과정이 이어진다.
산불에 따른 피해 정도를 평가하고 식생 현황, 곤충 등 육상 생태계, 토양 성분, 사회·경제적 특성 등을 종합적으로 살펴 복구계획이 수립된다.
비교적 피해목 존치가 가능하면 자연복원 대상지로 분류하지만 피해가 심각하거나 경제수 조림, 경관 조림, 불에 잘 타지 않는 내화수림 등 특정 목적이 세워지면 인공 복구도 이뤄진다.
이 과정에서 주민, 지자체, 전문가 등 의견을 폭넓게 수렴해 제대로 활용·경영할 수 있는 산림으로 만드는 계획이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산림은 자리잡는 데 오랜 세월이 필요한 만큼 100년 미래를 내다본 계획 수립이 절실한 여건이다.
최근 세계적인 이슈의 하나인 탄소문제 해결을 위해 탄소 흡수원으로서의 기능도 복구된 산림에 가미할 수 있어야 한다는 지적이다.
2020년 발생한 안동 산불로 훼손된 곳을 두고는 피해지를 대규모 산림 레포츠 단지로 조성하자는 계획이 검토되고 있어 눈길을 끈 바 있다. 단순 조림에서 벗어나 치유의 숲, 캠핑장, 숲 체험시설 등을 설치해 지역 주민 소득 증대로 이어지도록 하자는 발상이다.
물론 임도 확장, 내화수림대 조성, 침엽수 위주에서 벗어난 조림 등 대형 산불 방지를 위한 고민도 함께 반영돼야 한다.
경북도 관계자는 "지금은 신속한 피해 조사를 거쳐 장마철 전까지 산사태 등 추가 피해가 없도록 응급복구를 하는 게 중요한 시점"이라면서도 "장기적으로 산불 피해 지역에 미래 지향적인 계획을 더해 울진을 경북 북부권 대표 산림경영 지자체로 거듭나도록 하겠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