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尹인수위, 靑 이전 후보지 외교부·국방부 청사 압축

18일 현장 점검 예정…광화문 경호·보안 등 걸림돌
민주 "예산 1조원 이상 소요"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17일 청와대 이전 부지를 외교부가 입주해 있는 광화문 정부서울청사와 용산 국방부 청사 두 군데로 압축했다. 윤 당선인은 이날 오후 안철수 인수위원장, 기획조정·외교안보 분과 인수위원 등과 회의를 열고 이같이 결정했다. 사진은 외교부 청사, 국방부 청사의 모습.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17일 청와대 이전 부지를 외교부가 입주해 있는 광화문 정부서울청사와 용산 국방부 청사 두 군데로 압축했다. 윤 당선인은 이날 오후 안철수 인수위원장, 기획조정·외교안보 분과 인수위원 등과 회의를 열고 이같이 결정했다. 사진은 외교부 청사, 국방부 청사의 모습.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은 17일 청와대 이전 부지를 외교부가 입주해 있는 광화문 정부서울청사 별관과 용산 국방부 청사 두 군데로 압축했다.

그간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산하 청와대 이전 태스크포스(TF)는 실무적으로 두 곳의 장점과 단점을 비교 검토해왔는데, 윤 당선인은 처음으로 이를 공식화했다. 국무총리실 등이 있는 정부서울청사 본관도 후보지 중 하나였으나 결국 최종 배제됐다.

윤 당선인은 이날 오후 안철수 인수위원장, 기획조정·외교안보 분과 인수위원, 당선인 비서실 관계자 등과 회의를 열고 이같이 결정했다고 김은혜 당선인 대변인이 전했다.

김 대변인은 언론 공지를 통해 "윤 당선인과 회의 참석자들은 오늘 오후 5시 45분부터 1시간 15분간 회의 결과 청와대 이전 후보지를 외교부·국방부 청사로 압축했다"며 "인수위원들이 내일 오후 현장을 방문해 점검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윤 당선인은 앞서 지난 1월 새 대통령실을 광화문 정부서울청사에 구축하겠다고 공약한 바 있다. 그러나 당선 이후 경호·보안상 문제점이 제기되자 대안으로 서울 용산구 용산동 국방부 청사가 급부상했다. TF는 기존 청와대 부지를 국민에 개방하고, 대통령 집무실과 비서동을 용산으로 옮기는 방안을 유력하게 검토했다.

아울러 대통령 관저를 용산구 한남동 국방부 장관 공관 등을 개조해 마련한 뒤 추후 용산공원과 인접한 부지에 새 관저를 신축해 이사하는 방안도 함께 검토했다. 청와대 영빈관 후보지로는 국방컨벤션센터, 전쟁기념관, 국립중앙박물관 등이 거론되기도 했다.

한편 광화문으로 집무실을 옮기면 경호·의전 문제를 해결하기 어렵고, 출퇴근 때를 포함해 시민들에게 피해를 줄 수 있다는 이유로 용산 국방부 청사가 최종 결정되는 듯 했으나 일단 인수위가 현장실사 후 결정하는 것으로 가닥을 잡았다.

앞서 행정안전부는 대통령실을 청와대에서 국방부 청사로 옮기면 비용을 광화문 정부서울청사 별관에 비해 절반 정도 줄일 수 있다고 인수위에 보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아울러 국방부 신청사로 옮기면 지하 벙커를 새로 만들 필요가 없고, 인근에 관저를 신축하면 민폐를 끼치는 일도 없다는 게 장점이다.

더불어민주당은 대통령 집무실 이전 방안을 강력 비판했다. 국방부 청사로 옮기는데 대해 군 지휘부 등을 다시 옮겨야 함에 따라 안보 공백이 우려되고, 오욕의 역사가 있는 장소여서 국민과의 소통 강화 취지와 맞지 않는다는 논리다.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민주당 의원들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아집을 버리고 국민을 기만하는 것을 즉각 중단하기 바란다. 국방부, 합참 및 국방부 직할부대 이전에 따라 직간접적인 예산이 1조원 이상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주장했다.

윤호중 비대위원장은 "우리나라 대통령이 꼭 청나라 군대, 일본 군대가 주둔했던 곳에 가야겠느냐"고 했고, 전재수 의원은 "장소를 옮긴다고 일하는 방식과 소통의 문제가 해결되느냐"고 꼬집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