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김 총리 “스텔스 오미크론, 국내 점유율 40% 넘어…1~2주간 고비”

코로나19 중대본 회의 주재 “정점 이후 상황 염두에 두면서 중증·사망 최소화”

김부겸 국무총리가 16일 오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발언을 마친 뒤 다시 마스크를 쓰고 있다. 연합뉴스
김부겸 국무총리가 16일 오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발언을 마친 뒤 다시 마스크를 쓰고 있다. 연합뉴스

김부겸 국무총리는 23일 "앞으로 1~2주간이 코로나 위기 극복의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 총리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주재한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최근 오미크론 하위 변이인 이른바 스텔스 오미크론, 'BA.2'의 점유율이 세계적으로는 60%, 국내에서는 40%를 넘은 것으로 확인되면서 감염 확산을 주도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며 이 같이 밝혔다.

전날 코로나19 확진자수가 누적 1천만명을 돌파했음에도 최정점을 지나지는 않았다는 판단으로 풀이된다.

그는 "차근차근 준비해 온 대로 이 시간을 잘 견뎌낸다면, 유행의 감소세를 하루라도 더 앞당기고 안타까운 희생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확신한다"며 "정부는 정점 이후의 상황까지 염두에 두면서 중증과 사망을 최소화하는 일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김 총리는 "주변의 어느 누구라도 감염될 수 있고, 180만명 가량의 국민들께서 재택치료를 받고 있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코로나 확진자라는 이유만으로 응급 또는 특수 치료가 필요하거나 기저질환이 더 위중한 환자를 외면할 수는 없다"며 "감염위험을 적정하게 관리하되, 의료역량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어야만 의료체계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고 말했다.

국민을 향해선 적극적인 접종 참여를 거듭 강조했다. 김 총리는 "질병청이 확진자 643만여명을 분석한 결과, 미접종자의 중증화율은 3차접종 후 돌파 감염된 확진자에 비해 37배나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며 "뿐만 아니라, 백신 접종 후 감염된 사람은 미접종 상태에서 감염된 사람에 비해 바이러스 전파력이 약하다는 연구결과도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나 자신뿐만 아니라 가족, 이웃, 공동체 전체를 위해 지금이라도 백신접종에 동참해 달라"고 요청했다.

또 "오미크론의 위험도가 아무리 낮다 해도, 실제 중증도는 사람마다 차이가 있고, 검사를 미루다 감염이 확인되면 치료 시기를 놓칠 수도 있다. 추가 전파의 가능성도 더욱 커진다"며 적극적인 검사를 당부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