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구미 10년 '식수원 갈등' 끝이 보인다

내달 4일 낙동강 통합물관리 협정 체결
'하루 30만t 공동 활용' 내용 담겨…2024년까지 설계 2028년 완공

경북 구미 해평취수장. 매일신문 DB
경북 구미 해평취수장. 매일신문 DB

10년 넘게 끌어온 대구시와 구미시간 식수원 갈등이 종지부를 찍을 것으로 보인다.

다음 달 4일 오후 4시 구미시청에서 정부 국무조정실과 환경부, 대구시, 경북도, 구미시, 한국수자원공사 등이 참여해 '낙동강 통합물관리' 협정을 체결할 예정이다.

이날 협정 체결식에는 김부겸 국무총리와 구윤철 국무조정실장, 한정애 환경부장관, 권영진 대구시장, 이철우 경북도지사, 장세용 구미시장, 박재현 한국수자원공사 사장 등이 참석자로 이름을 올리고 있다.

경북 구미 해평취수장을 대구시와 공동 이용하게 되는 낙동강 통합물관리 협정은 지난해 6월 환경부 낙동강유역물관리위원회가 대구시가 하루 30만톤(t)을 공동 활용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협정문에는 장세용 구미시장이 지난 8월 환경부 낙동강유역물관리위원회의 의결을 조건부로 동의함에 따라 구미시가 제시한 조건들이 최대한 반영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협정을 체결하면 2024년까지 기본·실시설계, 2025년 착공을 거쳐, 2028년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낙동강 통합물관리 협정의 물꼬를 튼 것은 장세용 구미시장의 뚝심과 구미 해평취수장이 있는 해평면 주민들이 지난해 5월부터 '강력 반대'에서 '조건부 찬성'으로 입장 변화 기류를 보이면서 대구와 구미 간 갈등 해결의 단초를 제공할 수 있었다.

이 당시 해평취수원상생구미연합회는 "'지역 발전'을 전제로 해평취수장의 대구와 공동이용 문제를 공식적으로 논의할 수 있다"며 환경부와 대구시, 경북도, 구미시 등에 해평면 발전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기도 했다.

게다가 정부는 해평취수장을 대구시와 공동 이용해도 상수도보호구역 확대는 없으며, 구미에 대한 정부 지원 등을 하겠다는 약속도 취수원 갈등을 해결하는 데 한 몫을 했다.

대구시와 구미 간의 취수원 갈등은 1991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낙동강 페놀 유출 사고사 발생하면서 대구 시민들의 식수원 불안이 가중됐다.

게다가 2009년 1.4-다이옥산 수질사고가 발생하면서, 대구시는 국토부에 '구미 일선교 상류로 취수원을 옮기겠다'고 건의했다.

이어 대구시는 2012년 국토부에 '구미 해평취수장을 공동 이용하겠다'고 했으며, 2015년 국토부 수도정비 기본계획에 '대구시 취수원 구미 해평취수장으로 이전'이 포함되면서 본격화됐다.

장세용 구미시장은 "물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것이 당연하다"면서 "낙동강 통합물관리 협정식을 체결하는 만큼 사업이 제대로 추진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며,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도 이끌어 내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해평취수장 대구시 공동 이용 일지

1991년 낙동강 페놀유출 사고 발생

2009년 1.4-다이옥산 수질사고 발생. 대구시 국토부에 일선교 상류로 취수원 옮기겠다 건의

2012년 대구시 국토부에 구미 해평취수장 공동 이용 건의

2015년 국토부 수도정비 기본계획에 대구 취수원 구미 해평취수장으로 이전 포함

2021년 5월 해평취수원상생구미연합회 결성

2021년 6월 정부 측 해평취수장 대구시 공동 이용에 대한 합의서 검토

2021년 7월 정부 낙동강 통합물관리방안 구미지역 합동설명회

2022년 4월 해평취수장 공동 이용에 대한 낙동강 통합물관리 협정 체결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