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포스코가 '포스코그룹 정체성'이란 사내 메일을 통해 국민기업 이미지를 부정하고 나선 것과 관련(매일신문 11일 보도)해 포항지역 시민단체가 발끈하고 나섰다.
시민단체는 "'포스코=국민기업'이라는 국민적 상식과 공감에 흠집을 내고 있다"며 최정우 포스코홀딩스 회장의 퇴진까지 촉구하고 있다.
'포스코 지주사·미래기술연구원 포항이전 범시민대책위원회'(이하 범대위)는 13일 성명서를 발표하고 "지난 6일 최정우 포스코홀딩스 회장이 경영전략팀의 이름으로 포스코 전직원 개인 이메일에 '포스코그룹 정체성'이라는 제목의 글을 보내 '포스코는 국민기업이 아니다'라고 한 것은 부모 세대의 피땀과 눈물, 제철보국의 창업정신을 거역하는 최정우의 억지 주장"고 주장했다.
범대위는 특히 "공기업으로 탄생한 포항제철(POSCO)은 정부주도형 민영화를 통해 '국민기업'으로 거듭났다. 국가기간산업을 특정인이나 특정 개인의 소유가 아닌 국민적 기업으로 유지시키기 위한 '국민주' 발행 정책의 1호 기업이 포스코였다"면서 "IMF를 거치면서도 어느 재벌이 포스코의 지배주주가 될 수 없게 만든 민영화가 이뤄졌다. 고 박태준 회장이 1992년 10월에 제시한 그 '국민기업'의 진정한 출발선이다"고 했다.
또한 "국민기업의 역사와 전통과 정신을 팽개치는 뜻으로 직원들에게 발송한 글에는 '수치'만 내세우며 왜곡한 흔적이 심하게 남았다"면서 "해당 글에서 최정우 회장의 속내를 훤히 드려다 볼 수 있다. 지금까지 모든 일들이 포스코의 역사와 전통과 정신을 망가뜨리려는 음험한 계략이었음을 스스로 폭로한 글"이라고 비판했다.
범대위는 이날 최정우 포스코홀딩스 회장의 자신 사퇴를 요구하며 이를 위한 시민규탄대회를 조만간 개최할 뜻을 밝혔다.
범대위 관계자는 "포스코는 시작부터 대일청구권 등 국민의 눈물과 한이 서린 자금으로 지어졌다. 지금처럼 국제적 위상을 갖기까지 얼마나 많은 국민들의 희생과 노력이 들어갔나"며 "그 돈을 갚았다고 이제 아무런 빚이 없다는 논리가 소름끼친다. 역사를 외면하는 사람에게 리더의 자격이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