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낙동강 녹조 위험… 대구 시민·사회단체, 학교 급식 및 체험 학습 안전 촉구 집회 열어

대구 시만·사회단체 25곳 '낙동강 녹조 문제 해결을 위해 대구 공동대책위원회' 결성
학교 급식 농산물 생산지 실태조사 실시, 낙동강에서의 수상레저 체험활동 중단 등 요구

9일 오전 10시 30분쯤 대구 25개 시민·사회단체는
9일 오전 10시 30분쯤 대구 25개 시민·사회단체는 '낙동강 녹조 문제 해결을 위해 대구 공동대책위원회(이하 공대위)'를 결성하고, 최근 낙동강 녹조 관련 급식 안전에 대한 우려가 제기됐음에도 대구시교육청이 이에 대처를 하지 않고 있다며 규탄 집회를 열었다. 윤정훈 기자

대구 시민사회단체들이 녹조 독성물질이 검출된 낙동강 농산물에 대한 대책 마련과 수상레저 체험활동 중단을 촉구하고 나섰다.

대구 25개 시민·사회단체는 9일 '낙동강 녹조 문제 해결을 위해 대구 공동대책위원회(이하 공대위)'를 결성하고, "최근 녹조로 인한 급식 안전 우려에도 대구시교육청이 미온적으로 대처한다"고 규탄했다.

이날 공대위는 ▷학교 급식에 사용되는 농산물 생산지 실태조사 실시 ▷낙동강 물로 재배한 농작물의 학교 급식 배제 ▷낙동강에서 수상레저 체험활동 중단 ▷낙동강 보 개방 선언 등을 요구했다.

특히 대구낙동강수련원에서 학생 대상으로 이뤄지는 수상레저 체험 활동에 대해서도 "녹조 위험에서 전혀 안전하지 않은 반교육적 행태"라고 비판하며, 체험 활동 중단을 주장했다.

공대위는 "캠페인 등을 통해 시민들에게 이번 문제의 심각성을 알려나갈 것"이라며 "학교 급식 문제뿐만 아니라 농산물 관리와 유통에 책임이 있는 대구시를 향해서도 책임을 강력히 요구하겠다"고 했다.

지난 2, 3월 낙동강 물로 실험 재배한 무와 배추, 쌀 등 농산물에서 녹조 독성물질인 마이크로시스틴이 검출됐다는 환경단체의 발표가 잇따랐다. 이에 각종 시민·사회단체는 실태조사와 해당 농산물의 학교 급식 사용 금지를 요구해왔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